분명히 그레이코드에서 2진수로 변할때
첫번째껀 내려가고 내려간거랑 두번쨰꺼랑 XOR해서
2진수배열의 두번째인덱스를 결정하는것은 이해했는데요~~
그렇다면 2번 문제에서
INPUT(T+2)=BINARY(T) 이게 답인데...
제생각에는
INPUIT(T+1)=BINARY(T) 인것 같애서요...
왜냐면..
INPUT의 첫번째 인덱스는 그냥내려가고 두번째인덱스와 그냥 내려간인덱스가 XOR되는거자나요~
ㅠㅠㅠ
왜 INPUT(T+2)인지 모르겠습니다 ㅠ
안녕하세요.
입력된 값이
1 1 1 0 0 이라면 첫번째 값이 1이므로 그레이코드입니다.
1 1 0 0 이 실제 사용할 데이터입니다.
실제 데이터 중 첫번째 데이터는 INPUT(2)입니다. 이것을 BINARY(1)에 넣습니다.
이제 그레이를 2진수로 변환하려면 2진수의 첫번째 값인 BINARY(1)과 그레이 코드의 실제 데이터 중 두번째 데이터 INPUT(3)과 비교를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INPUT(T+2) = BINARY(T) 을 비교하는 것이죠.
T가 1이면 INPUT(3) = BINARY(1)이 되는 것이니까요.
입력된 값의 첫번째는 그레이코드인지 2진수인지를 판별하는 용도이므로 실제 데이터는 INPUT(2) ~ INPUT(5)라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4-25 09:46:37
안녕하세요.
입력된 값이
1 1 1 0 0 이라면 첫번째 값이 1이므로 그레이코드입니다.
1 1 0 0 이 실제 사용할 데이터입니다.
실제 데이터 중 첫번째 데이터는 INPUT(2)입니다. 이것을 BINARY(1)에 넣습니다.
이제 그레이를 2진수로 변환하려면 2진수의 첫번째 값인 BINARY(1)과 그레이 코드의 실제 데이터 중 두번째 데이터 INPUT(3)과 비교를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INPUT(T+2) = BINARY(T) 을 비교하는 것이죠.
T가 1이면 INPUT(3) = BINARY(1)이 되는 것이니까요.
입력된 값의 첫번째는 그레이코드인지 2진수인지를 판별하는 용도이므로 실제 데이터는 INPUT(2) ~ INPUT(5)라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