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4회 때 낙마 했습니다.
알고리즘 만점 , 업무프로세서 5점, 신기술용어 8점, 전산영어 2점, 데이타베이스 6점.
솔직히 열심히 했습니다. 근데 시험 분위기도 있고. 컨디션도 별로인지 답이 눈에 잘 안들어 오더라구요.
특히 디비는 책에서 본적도 없구. 하니. 딱 아는게 하나 보이더라구요.
이번엔 디비에 더 공부 하고 싶은데요.
책을 2011년 판을 보니 디비 내용은 전과 같아서요.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답답합니다.
이번에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암기와 이해 중심으로 하고 있는데 전처럼 없는 내용 나올까봐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알고리즘 만점을 받으셨다니 알고리즘은 어느정도 학습이 마무리 되신 것 같습니다.
10년 1회 |
기사 |
Normalization(정규화), JOIN, DeNormalization(역정규화), 1:M(일대다), BETWEEN |
산업기사 |
Lost Update, Cascading Rollback, Schedule, Growing, Time Stamp |
|
10년 2회 |
기사 |
이상(Anomaly), 무결성(Integrity), 복합키(Composite Key), 1NF, 2NF |
산업기사 |
무결성, 속성, VALUE IN, TRIGGER, WITH GRANT OPTION |
|
10년 4회 |
기사 |
SUBJECT AREA, FULL TABLE SCAN, 용어사전, RTrim, META DATA |
산업기사 |
VIEW, COURSE, ENROLL, OPERATION, CONSTRAINT |
-
*2011-04-14 09:42:49
안녕하세요.
알고리즘 만점을 받으셨다니 알고리즘은 어느정도 학습이 마무리 되신 것 같습니다.
2010년에 출제된 데이터베이스 문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0년 1회
기사
Normalization(정규화), JOIN, DeNormalization(역정규화),
1:M(일대다), BETWEEN
산업기사
Lost Update, Cascading Rollback, Schedule, Growing, Time Stamp
10년 2회
기사
이상(Anomaly), 무결성(Integrity), 복합키(Composite Key), 1NF, 2NF
산업기사
무결성, 속성, VALUE IN, TRIGGER, WITH GRANT OPTION
10년 4회
기사
SUBJECT AREA, FULL TABLE SCAN, 용어사전, RTrim, META DATA
산업기사
VIEW, COURSE, ENROLL, OPERATION, CONSTRAINT
빨간색 부분은 교재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이고, 파란색 내용은 교재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문제의 지문 상으로 유추가 가능했던 문제들입니다.이렇듯 회차별로 출제 기준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운도 따라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도 합니다.최근들어 데이터베이스 1~2문항, 업무 프로세스 1~2 문항이 전공분야의 세부적인 내용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들을 맞추기 위해 비 전공자가 투자할 시간이나 분량이 너무 방대하므로 이 문제들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에 충실한 문제들을 맞춰 합격하는 전략으로 학습하셔야 합니다.새롭게 출제되는 유형의 범위를 명확히 제시한 것이 아니다 보니, 새롭게 출제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출제 후 다시 출제될 경우 맞출 수 있도록 추가하는 정도입니다.이러한 폐단을 시행처에도 여러차례 건의를 하였지만 시행처에서는 별다른 변화를 주지 않고 출제하고 있습니다.결국 새롭게 출제되는 유형보다는 교재에 수록된 범위 안에서 출제되는 문제 만큼은 확실히 맞춘다는 전략으로 임하는 것이 현 시험 제도에서는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이런하 점을 감안하여 2010년 문제를 기준으로 볼 때 데이터베이스는 평균적으로 약 18~20점 정도를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알고리즘 30점, 데이터베이스 18점, 업무 프로세스 12점, 전산&신기술용어 8~10점을 목표로 학습하세요.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확히 이해를 하는 학습 습관을 들이세요. 나중을 봐서는 그것이 확실한 합격 전략이니까요.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