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문제가 아니라 정규화가 좀 이해가 안되어서요~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조회수
83
작성일
2017-04-14
작성자
첨부파일
부분적 함수종속과 다치종속 정의를 보면 둘다 같은 말 같던데 어떻게 구분해야 할지 팁좀 주세요 ㅠㅠ
답변
2017-05-26 13:57:58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문의하신 내용 답변드립니다.
- 함수 종속 : A의 값을 알면 B의 값을 알 수 있거나 A의 값에 따라 B의 값이 달라지면 B는 A에 함수적 종속임, 즉 ‘(A, B), C’ 일때 ‘(A), C’ 또는 ‘(B), C’가 성립함
- 다치 종속 : A, B, C 3개의 속성을 가진 테이블 R에서 어떤 복합 속성(A, C)에 대응하는 B 값의 집합이 A 값에만 종속되고 C 값에는 무관한 것, 즉 ‘(A), B, C’일 때 B와 C는 무관것
정규화에서는 정규화 과정에 대해서만 문제가 출제되므로 각 종속들의 개념은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냥 넘어가도 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017-05-26 13:57:58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져 죄송합니다.
문의하신 내용 답변드립니다.
- 함수 종속 : A의 값을 알면 B의 값을 알 수 있거나 A의 값에 따라 B의 값이 달라지면 B는 A에 함수적 종속임, 즉 ‘(A, B), C’ 일때 ‘(A), C’ 또는 ‘(B), C’가 성립함
- 다치 종속 : A, B, C 3개의 속성을 가진 테이블 R에서 어떤 복합 속성(A, C)에 대응하는 B 값의 집합이 A 값에만 종속되고 C 값에는 무관한 것, 즉 ‘(A), B, C’일 때 B와 C는 무관것
정규화에서는 정규화 과정에 대해서만 문제가 출제되므로 각 종속들의 개념은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냥 넘어가도 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