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것처럼 결과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한 것은 배열에 값이 저장되었다고 제시하므로 저장된 배열을 이용하라는 묵시적은 요구조건이 명시되었습니다.
(④ )를 단순히 E로만 처리한다면 문제에 제시된 배열에 대한 설명이 무색해 지게됩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 논란의 소지가 없으려면 이런 경우에는 (④ )를 전체 작성하게 하지 않고
A[ (④ ) ] 와 같이 A 배열에서 첨자 위치를 변수를 이용해 지정하도록 문제를 제시한다면 답안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혹 실제 시험에서 문제에서 배열에 대한 언급이 있고 ... 이를 순서도에서 사용해야 한다면 교재와 같이 답을 하셔야 향후 채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11 17:09:10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것처럼 결과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한 것은 배열에 값이 저장되었다고 제시하므로 저장된 배열을 이용하라는 묵시적은 요구조건이 명시되었습니다.
(④ )를 단순히 E로만 처리한다면 문제에 제시된 배열에 대한 설명이 무색해 지게됩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 논란의 소지가 없으려면 이런 경우에는 (④ )를 전체 작성하게 하지 않고
A[ (④ ) ] 와 같이 A 배열에서 첨자 위치를 변수를 이용해 지정하도록 문제를 제시한다면 답안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혹 실제 시험에서 문제에서 배열에 대한 언급이 있고 ... 이를 순서도에서 사용해야 한다면 교재와 같이 답을 하셔야 향후 채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