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p356쪽 알고리즘 답 이것도 되지 않나요?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356
조회수
75
작성일
2017-04-07
작성자
첨부파일

기존답은 L: (COL+1)-J, E: J+(COL-1) 이라고 명시되있는데, 물론 이 답은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답 체크 하기 전에, 전 L: ROW-COL + 2 - J, E: ROW-COL+J 이렇게 생각했고 디버깅을 해봤는데

이것 역시 틀리지 않습니다. 설마해서 COL값을 6으로 주고 했는데(문제에선 4)도 위 처럼

작성해도 값은 기존 답이랑 똑같이 나왔습니다. 이거 중복 답이 될 수 있는건가요??

추가로 실제 시험에서도

알고리즘은 답이 완벽히 하나로 정해져 있는지 아니면 이런 경우가 생길 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

답변
2017-04-07 11:39:52

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에서도 중복 답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정답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수식이나 조건 전체를 입력하기 보다는 일부를 입력하도록 제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L = (COL+1) - J

라면

L = (COL+1) - ( ① )

와 같이 수식의 일부에 괄호를 두어 정답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시행처의 채점 기준은 공개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별도의 처리조건도 없고 괄호안에 알맞은 답안이 중복될 경우 중복 답안이 인정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4-07 11:39:52

    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에서도 중복 답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정답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수식이나 조건 전체를 입력하기 보다는 일부를 입력하도록 제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L = (COL+1) - J

    라면

    L = (COL+1) - ( ① )

    와 같이 수식의 일부에 괄호를 두어 정답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시행처의 채점 기준은 공개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별도의 처리조건도 없고 괄호안에 알맞은 답안이 중복될 경우 중복 답안이 인정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