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트리 공부하던 중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올립니다.
B-트리 : 루트노드와 단말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최소 M/2개 ~ 최대 M개 의 서브노드를 가진다.
B*-트리 : 루트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최소 (2M-2)/3개 ~ 최대 M개 의 서브노드를 가진다.
B+-트리 : 루트노드와 단말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최소 2/M개 ~ 최대 M개 의 서브노드를 가진다.
저런 서브 노드의 갯수를 구할 때 M이 홀수일 때의 갯수는 어떻게 되는 것이며,
저렇게 갯수를 구분하는 이유를 말해주는 부분이 없어서 궁금해서 올리게 됩니다.
인터넷에도 찾아보니깐
" 이 조건에 의해 tree의 각 Node가 적어도 반 이상은 key값으로 채워져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속 tree가 없는 Node가 발생하지 않고 key값이 가능한 효율적으로 종속 tree에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 "
라고 어떤 분이 올리셨는데 봐도 이해가 안되서 글 남기고 갑니다
안녕하세요.
단순히 각 트리를 대표하는 특징 정도가 문제로 제시되거나 혹은 그 보다 더 개념적인 내용만 범위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각 트리가 가질 수 있는 서브노드를 도식화하여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위한 학습으로는 특징을 암기하는 정도만 진행하세요. 시험과 관계없이 전공 분야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하려면 전공 도서를 통해 관련 주변 이론을 선행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됩니다. 저희도 그와 관련된 답변을 위해서는 별도의 관련 자료를 찾아 전달을 위한 과정도 고민해야 하므로 답변에 많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을 양해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06 09:31:28
안녕하세요.
단순히 각 트리를 대표하는 특징 정도가 문제로 제시되거나 혹은 그 보다 더 개념적인 내용만 범위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각 트리가 가질 수 있는 서브노드를 도식화하여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위한 학습으로는 특징을 암기하는 정도만 진행하세요. 시험과 관계없이 전공 분야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하려면 전공 도서를 통해 관련 주변 이론을 선행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됩니다. 저희도 그와 관련된 답변을 위해서는 별도의 관련 자료를 찾아 전달을 위한 과정도 고민해야 하므로 답변에 많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을 양해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