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3쪽 2번
두번째 nmg이해가 안되데 앞에 부터 이어서 숫자로 넣어서 설명부탁드려요
2권 191쪽 예제
예제에서는 분포도가 낮은거를 선행이라고했는데 위에설명은 분포도가 좋은게 선행이라하는데 어떤게 맞는건가여?
123쪽 8번 left말고 where로 결과 알려주세요
302쪽 18번은 어띠를 보와 정답을 알 수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
각 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디버깅 표를 첨부하였으니 확인해 보세요.
2)
분포도가 낮다는 것은 선택성이 좋은 것으로 낮다는 것과 좋음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3)
Join을 수행한 후 where절로 내용이 없는 자료를 in null로 추출하는 내용입니다.
Left 말고 where라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다시 한 번 질문을 주시면 확인 후 답변드리겠습니다.
4)
① 구축 ② 분석 ③ 설계 ④ GAP ⑤ 적용
①번은 내용에서 전반적으로 구축방법론을 언급하고 있음에서 유추할 수 있습니다.
②번의 분석과 ③번의 설계, ⑤번의 적용은 304쪽의 도식화된 표와 비교하여 답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④번의 GAP은 304쪽의 2번 내용에서 분석 단계에서 As-Is분석, To-Be분석, GAP분석이 수행된다는 내용을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06 10:55:37
안녕하세요.
1)
각 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디버깅 표를 첨부하였으니 확인해 보세요.
2)
분포도가 낮다는 것은 선택성이 좋은 것으로 낮다는 것과 좋음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3)
Join을 수행한 후 where절로 내용이 없는 자료를 in null로 추출하는 내용입니다.
Left 말고 where라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다시 한 번 질문을 주시면 확인 후 답변드리겠습니다.
4)
① 구축 ② 분석 ③ 설계 ④ GAP ⑤ 적용
①번은 내용에서 전반적으로 구축방법론을 언급하고 있음에서 유추할 수 있습니다.
②번의 분석과 ③번의 설계, ⑤번의 적용은 304쪽의 도식화된 표와 비교하여 답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④번의 GAP은 304쪽의 2번 내용에서 분석 단계에서 As-Is분석, To-Be분석, GAP분석이 수행된다는 내용을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