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에서 만일 칸 수를 표시해야 할 경우에는 칸 수를 어떻게 표시하라는 조건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채점이 애매할 수 있어 단순히 %d와 같이 정수형태로의 출력이 대부분일수도 있습니다.
정수는 소수점 자리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3d나 %4d와 같이 자리수만 표시됩니다.
문자의 경우 %3.2s는 3자리를 확보해 제시된 변수에서 소수점 뒤의 글자수, 즉 여기서는 2글자만 추출합니다.
결국 ("%3.2s", name)이라면 name에서 2자리, 즉 "na"만 가져와 이것으로 3자리 확보된 공간에 출력합니다.
부호가 없으므로 오른쪽부터 출력하여 _na 와 같이 앞에 한 칸을 띄고 출력합니다.
%-3.2s 로 부호가 -이면 왼쪽부터 출력하여 na_ 와 같이 뒤에 한 칸을 띕니다.
실수의 경우 %5.2f는 소수점을 포함하여 5자리를 확보한 후 소수점 이후는 소수점 자리로, 즉 소수점 이하는 2자리로 표시하고 나머지 2자리에 정수를 표시합니다. 총 5자리를 확보하지만 소수점도 자리수에 포함되므로 정수는 2자리만 표시됩니다. 하지만 표시할 정수의 값이 확보된 자리수보다 많은 경우는 자리수에 관계없이 정수 자리수가 모두 표시됩니다. 자리수는 확보된 공간보다 표시할 값이 적을 경우 적용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4-03 09:51:26
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에서 만일 칸 수를 표시해야 할 경우에는 칸 수를 어떻게 표시하라는 조건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채점이 애매할 수 있어 단순히 %d와 같이 정수형태로의 출력이 대부분일수도 있습니다.
정수는 소수점 자리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3d나 %4d와 같이 자리수만 표시됩니다.
문자의 경우 %3.2s는 3자리를 확보해 제시된 변수에서 소수점 뒤의 글자수, 즉 여기서는 2글자만 추출합니다.
결국 ("%3.2s", name)이라면 name에서 2자리, 즉 "na"만 가져와 이것으로 3자리 확보된 공간에 출력합니다.
부호가 없으므로 오른쪽부터 출력하여 _na 와 같이 앞에 한 칸을 띄고 출력합니다.
%-3.2s 로 부호가 -이면 왼쪽부터 출력하여 na_ 와 같이 뒤에 한 칸을 띕니다.
실수의 경우 %5.2f는 소수점을 포함하여 5자리를 확보한 후 소수점 이후는 소수점 자리로, 즉 소수점 이하는 2자리로 표시하고 나머지 2자리에 정수를 표시합니다. 총 5자리를 확보하지만 소수점도 자리수에 포함되므로 정수는 2자리만 표시됩니다. 하지만 표시할 정수의 값이 확보된 자리수보다 많은 경우는 자리수에 관계없이 정수 자리수가 모두 표시됩니다. 자리수는 확보된 공간보다 표시할 값이 적을 경우 적용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