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p - do~while문
----------
main()
{
int=0,hao=0:
do
{
i++;
hap+= i;
}while(I<10);
printf("%d,%d/n",i,hap);
}
여기서 분명히 i갑이 먼저 증가한 후 그 후에 hap에 대한 계산식이 나와
후증가 방식이 아닌 선증가인데 그럼 ++i로 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옆 27페이지와 While문에서도 마찬가지로 선증가인데 i++;
30페이지 for문에서도 마찬가지로 논리식이 시작되기 전에 선증가인데 i++; 왜 인지? 궁금해요
main()
{
int a[5];
int i;
for( i=0; i<5; i++ )
a[i]=i+10:
for( i=0; i<5; i++ )
printf("%d/n",a[i]);
}
안녕하세요.
선증감, 후증감 개념은 해당 변수가 수식에 포함된 경우입니다.
교재 11쪽과 같이
b = (a++) + 3의 경우 a 변수의 값을 +3에 먼저 적용한 후 후증가가 수행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i나 i++과 같이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된 경우는 값이 1증가하게 됩니다.
특히 for문의 증가값으로 사용되는 경우 ++i나 i++은 동일하게 1이 증가되는 효과만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7 15:20:39
안녕하세요.
선증감, 후증감 개념은 해당 변수가 수식에 포함된 경우입니다.
교재 11쪽과 같이
b = (a++) + 3의 경우 a 변수의 값을 +3에 먼저 적용한 후 후증가가 수행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i나 i++과 같이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된 경우는 값이 1증가하게 됩니다.
특히 for문의 증가값으로 사용되는 경우 ++i나 i++은 동일하게 1이 증가되는 효과만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