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을 A(0) 이 아닌 A(1) 부터 사용하는이유를 모르겠네요
p69 문제의 경우는 출력단에 i는 1부터라는 단서가 있는데
p71 문제의 경우는 별도의 제약사항이 없이
A를 출력하라고만 나오는데 A(1)부터 입력할 경우
A(0)부터 출력되서 문제가 되는거 아닌가요?
p75의 경우는 답에도 영향을 영향을 주는데
문제가 "A(16)배열에 0~F 저장 이라고 가정" 인데
시작 배열에 대한 명기가 없는 상황에서
A(1) 부터 0이 저장되어 있음을 기준으로 문제를 풀어야 되네요
A(0) 시작이라면 4번항의 답은 A(E+1)가 아닌 A(E)가 되겠져..
그냥 일반적인 풀이과정으로 A(1)부터 적용하면 된다라고 이해하면 되나여?
안녕하세요.
순서도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명시가 없는 경우 배열의 위치가 1부터 시작이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 실기 시험부터는 c와 JAVA가 추가되면서 배열의 위치에 대한 기준의 처리조건에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나 JAVA는 배열의 시작 위치가 무조건 0부터 시작하지만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배열의 시작 위치나 함수 사용 방법 등이 처리조건으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혹 제시되지 않는 다면 배열의 위치를 다루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을 보고 배열의 시작 위치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판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니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7 14:28:22
안녕하세요.
순서도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명시가 없는 경우 배열의 위치가 1부터 시작이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 실기 시험부터는 c와 JAVA가 추가되면서 배열의 위치에 대한 기준의 처리조건에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나 JAVA는 배열의 시작 위치가 무조건 0부터 시작하지만 순서도는 특정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배열의 시작 위치나 함수 사용 방법 등이 처리조건으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혹 제시되지 않는 다면 배열의 위치를 다루는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을 보고 배열의 시작 위치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판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니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