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형으로 출력할 때랑
정수형으로 출력 할때 정수형으로 어떻게 변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실수형으로 출력 할때도 그냥 1234.56789 아닌가요..? 왜 1234.567871 인지 잘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수형태를 실수형으로 표시할 때 정규화 과정을 거쳐 지수부 자리를 계산합니다.
저장된 값보다 표현될 자리수가 많은 경우 변화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해 예상된 결과가 다른 값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수값을 실수 서식 문자열을 이용해 출력하는 문제가 출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음에 설명된 정상적인 정수와 소수 부분 출력 형태만 확실히 파악해 두세요.
6.1과 같이 앞의 6이 일반적으로 소수점을 포함한 전체 확보된 자릿수를 의미하는데 .. 이는 출력할 값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a = 123456789.0e-5f
지수형식은 가수부와 소수부를 나눠서 처리하는 것으로
실제 값은 소수점 위치가 지금보다 왼쪽으로 5칸 이동한
1234.56789입니다.
이 값에 %6.1을 적용하면 소수점을 포함한 6자리를 확보한 후 소수점 1자리를 출력하므로
1234.6이 됩니다.
만일
1234.56789를
%.2f로 출력한다면 앞의 1은 전체 자리수로 지정할 수 없는 값입니다. 즉 표현할 자리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작은 경우에는 정수부분은 모두 출력하고 소수점 부분만 지정된 자릿수에 맞게 출력됩니다.
그래서 1.2f로 지정하면 1234.58이 출력됩니다.
또한 표현할 자릿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큰 경우 남은 자리는 공백으로 띄워져 표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4 17:39:17
안녕하세요.
지수형태를 실수형으로 표시할 때 정규화 과정을 거쳐 지수부 자리를 계산합니다.
저장된 값보다 표현될 자리수가 많은 경우 변화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해 예상된 결과가 다른 값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수값을 실수 서식 문자열을 이용해 출력하는 문제가 출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음에 설명된 정상적인 정수와 소수 부분 출력 형태만 확실히 파악해 두세요.
6.1과 같이 앞의 6이 일반적으로 소수점을 포함한 전체 확보된 자릿수를 의미하는데 .. 이는 출력할 값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a = 123456789.0e-5f
지수형식은 가수부와 소수부를 나눠서 처리하는 것으로
실제 값은 소수점 위치가 지금보다 왼쪽으로 5칸 이동한
1234.56789입니다.
이 값에 %6.1을 적용하면 소수점을 포함한 6자리를 확보한 후 소수점 1자리를 출력하므로
1234.6이 됩니다.
만일
1234.56789를
%.2f로 출력한다면 앞의 1은 전체 자리수로 지정할 수 없는 값입니다. 즉 표현할 자리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작은 경우에는 정수부분은 모두 출력하고 소수점 부분만 지정된 자릿수에 맞게 출력됩니다.
그래서 1.2f로 지정하면 1234.58이 출력됩니다.
또한 표현할 자릿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큰 경우 남은 자리는 공백으로 띄워져 표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