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와 B 사이에 있는 수를 구할때
A가 B보다 작다면
A < X < B
이렇게 작성되는거 아닌가요??
추가적으로
Page 249에서
100에서 500을 포함하여 두 수 사이의 자연수면
100 < X <= 500 아닌가요??
너무 헷갈려요..
안녕하세요.
두 수 사이라고 하면 두 수가 모두 포함됩니다. 두 수가 100과 500 이라면 100 >= X <= 500 입니다.
A와 B 두 수 사이의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과정에서 두 수의 포함 여부는 반복문에서 결정됩니다.
A:B에서 A>B인 경우
반복 변수 N은 A, B, 1로 A부터 B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됩니다.
A:B에서 A<=B인 경우
반복 변수 N은 B, A, 1로 B부터 A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됩니다.
즉 반복문에서 모두 A나 B를 포함해서 B나 A를 포함한 값까지 처리하므로 두 수 사이의 값을 모두 처리합니다.
A:B 조건 판단에서
>나 <=의 구분은 처리조건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순서도에서 묵시적으로
A와 B가 같은 경우는 어느쪽에서 처리해도 되지만 A와 B가 같은 경우는 B부터 A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A<=B로 출제자가 지정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2 09:55:10
안녕하세요.
두 수 사이라고 하면 두 수가 모두 포함됩니다. 두 수가 100과 500 이라면 100 >= X <= 500 입니다.
A와 B 두 수 사이의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과정에서 두 수의 포함 여부는 반복문에서 결정됩니다.
A:B에서 A>B인 경우
반복 변수 N은 A, B, 1로 A부터 B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됩니다.
A:B에서 A<=B인 경우
반복 변수 N은 B, A, 1로 B부터 A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됩니다.
즉 반복문에서 모두 A나 B를 포함해서 B나 A를 포함한 값까지 처리하므로 두 수 사이의 값을 모두 처리합니다.
A:B 조건 판단에서
>나 <=의 구분은 처리조건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순서도에서 묵시적으로
A와 B가 같은 경우는 어느쪽에서 처리해도 되지만 A와 B가 같은 경우는 B부터 A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A<=B로 출제자가 지정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