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명이 같이 공부를하고있는데요.
알려준 사람이(시나공에게 물어봐서 이해한 바에 의한 다고 함) 말해준 바에 의하면
제가 첨부한 노란색 필기내용과 같거든요.
근데 그 숫자로 예를들어 컴파일해보면, 이해한대로 답이 나오긴하는데.
다른 숫자 예로들어보니 그 이론이랑 안맞는게 있네요..
첨부한 코드 보시면..
1번이요... 15432.227 을 5.2f 로 출력하면,,, 15.432 로 소수점(.)을 포함하여 총 5자리 나와야할 것같은데..
답은 15432.23 이네요...
이유가뭘까요
잘못이해하는 부분이 있는 것같은데...
알려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
안녕하세요.
6.1과 같이 앞의 6이 일반적으로 소수점을 포함한 전체 확보된 자릿수를 의미하는데 .. 이는 출력할 값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첨부해 주신 내용 중
1234567.89
를 1.2f로 출력한다면 앞의 1은 전체 자릴수로 지정할 수 없는 값입니다. 즉 표현할 자리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작은 경우에는 정수부분은 모두 출력하고 소수점 부분만 지정된 자릿수에 맞게 출력됩니다.
그래서 1.2f로 지정하면 1234567.89가 출력됩니다.
또한 표현할 자릿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큰 경우 남은 자리는 공백으로 띄워져 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자리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자리수를 기본적으로 6자리가 표시됩니다.
첨부된 파일
1. 15432.23 -> 5.2f 로 지정한 자리숫가 작으므로 정수는 모두 출력 소수점은 2자리만 출력
2. f만 지정했으므로 소수점 자리수를 6자리 표시하기 위해 소수점 위치를 변경해서 표현
3. 4. 5.와 같이
지수형태를 실수형으로 표시할 때 자리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이것은 컴퓨터 처리 과정에서의 오차임)
6. 자리수가 부족하므로 정수는 모두 출력, 소수점은 2자리 표시인데 소수점 이하가 없으므로 .00으로 표시
7. 자리수가 부족하므로 정수는 모두 출력, 소수점은 2자리 표시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0 14:38:20
안녕하세요.
6.1과 같이 앞의 6이 일반적으로 소수점을 포함한 전체 확보된 자릿수를 의미하는데 .. 이는 출력할 값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첨부해 주신 내용 중
1234567.89
를 1.2f로 출력한다면 앞의 1은 전체 자릴수로 지정할 수 없는 값입니다. 즉 표현할 자리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작은 경우에는 정수부분은 모두 출력하고 소수점 부분만 지정된 자릿수에 맞게 출력됩니다.
그래서 1.2f로 지정하면 1234567.89가 출력됩니다.
또한 표현할 자릿수보다 서식 문자열에 지정한 자릿수가 큰 경우 남은 자리는 공백으로 띄워져 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자리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자리수를 기본적으로 6자리가 표시됩니다.
첨부된 파일
1. 15432.23 -> 5.2f 로 지정한 자리숫가 작으므로 정수는 모두 출력 소수점은 2자리만 출력
2. f만 지정했으므로 소수점 자리수를 6자리 표시하기 위해 소수점 위치를 변경해서 표현
3. 4. 5.와 같이
지수형태를 실수형으로 표시할 때 자리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이것은 컴퓨터 처리 과정에서의 오차임)
6. 자리수가 부족하므로 정수는 모두 출력, 소수점은 2자리 표시인데 소수점 이하가 없으므로 .00으로 표시
7. 자리수가 부족하므로 정수는 모두 출력, 소수점은 2자리 표시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