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수형의 경우 숫자를 저장할 때 지수부와 가수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데, 이를 다시 출력할 때 유효 자리수에 맞게 출력합니다.
이로 인해 C나 Java는 소수점 자리수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6자리를 표현하기 위해 지수부와 가수부로 나눠 저장된 내용을 다시 자리수에 맞추어 출력하면서 일부 오차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가 그런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C언어 처리 과정에 따른 오차이므로 세부적인 내용을 언급할 수는 없지만 이 문제의 경우 소수점 자리수에 맞게 값이 어떻게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장된 값 보다 더 많은 유효 자리수를 표시하는 경우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또한 지수 표시 형식 e+03은 출력되는 표시형식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지수 형식의 출력 결과를 직접 작성하도록 하는 문제가 출제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혹 출제된다면 e+03과 같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출력형식에 맞게 작성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0 13:52:56
안녕하세요.
실수형의 경우 숫자를 저장할 때 지수부와 가수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데, 이를 다시 출력할 때 유효 자리수에 맞게 출력합니다.
이로 인해 C나 Java는 소수점 자리수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6자리를 표현하기 위해 지수부와 가수부로 나눠 저장된 내용을 다시 자리수에 맞추어 출력하면서 일부 오차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가 그런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C언어 처리 과정에 따른 오차이므로 세부적인 내용을 언급할 수는 없지만 이 문제의 경우 소수점 자리수에 맞게 값이 어떻게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장된 값 보다 더 많은 유효 자리수를 표시하는 경우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또한 지수 표시 형식 e+03은 출력되는 표시형식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지수 형식의 출력 결과를 직접 작성하도록 하는 문제가 출제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혹 출제된다면 e+03과 같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출력형식에 맞게 작성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