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사실기 알고리즘 문제에 대하여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183
조회수
228
작성일
2017-03-06
작성자
첨부파일

정보처리기사(특별개정판..?)

1권

색션019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에서

알고리즘 순서도 10번에

A:B

yes하면 gcm=small

lcm=a*b/gcm

no하면 big=small

small=nmg

에서 a:b가 아니라 nmg==0 이라고 써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건의사항으로

알고리즘 코드랑 순서도랑 달라서 좀 ...

예를들어 위의 알고리즘에서 nmg=0이라고 쓰면 0을 nmg에 넣는건지 nmg가0이라는건지

c언어코드랑 달라서 영 헷갈리네요

...

답변
2017-03-07 09:12:01

안녕하세요.

순서도에서 사용되는 기호나 형식을 파악하셔야 합니다.

마름모는 조건 판단으로 A:B로 표시된 경우에는 조건에 따른 Yes, No에 따른 처리가 아니라

A와 B의 크기에 따라 처리 형태가 달라집니다.

A가 B보다 큰 경우는 BIG에 A를 넣어야 하므로 ②는 A>B 또는 A>=B가 됩니다. 같은 경우에 대한 처리 조건이 없다면

A가 B보다 작은 경우는 BIG에 B를 넣어야 하므로 ①은 A

같은 경우에 대한 별도의 처리 조건이 없다면 =는 어느쪽에 붙어도 관계가 없습니다. 단 조건이 있다면 조건에 맞게 =를 붙여주면 됩니다.

또한 마름모의 조건 판단 안에서의 nmg=0은 nmg와 0이 같은가 라는 의미이고

직사각형의 처리문 안에서의 nmg=0은 nmg에 0을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3-07 09:12:01

    안녕하세요.

    순서도에서 사용되는 기호나 형식을 파악하셔야 합니다.

    마름모는 조건 판단으로 A:B로 표시된 경우에는 조건에 따른 Yes, No에 따른 처리가 아니라

    A와 B의 크기에 따라 처리 형태가 달라집니다.

    A가 B보다 큰 경우는 BIG에 A를 넣어야 하므로 ②는 A>B 또는 A>=B가 됩니다. 같은 경우에 대한 처리 조건이 없다면

    A가 B보다 작은 경우는 BIG에 B를 넣어야 하므로 ①은 A

    같은 경우에 대한 별도의 처리 조건이 없다면 =는 어느쪽에 붙어도 관계가 없습니다. 단 조건이 있다면 조건에 맞게 =를 붙여주면 됩니다.

    또한 마름모의 조건 판단 안에서의 nmg=0은 nmg와 0이 같은가 라는 의미이고

    직사각형의 처리문 안에서의 nmg=0은 nmg에 0을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