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예를 들어 i가 4라면
반복문은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반복 k = 3, 1, -1 -> k를 3부터 1까지 -1씩 증가하면서 반복문을 실행
k는 처음 3을 가지고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치를 적용해 k가 2가 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하죠 아직 기준값보다 작지 않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치를 적용해 k가 1이 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하죠 아직 기준값보다 작지 않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치를 적용해 k가 0이 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하죠 기준값보다 작으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옵니다.
이때 반복변수 k의 값은 0인 상태로 빠져나옵니다.
반복문을 빠져나온 뒤 반복변수 k의 값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복문을 빠져나올때의 k 값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반복변수는 반복문 안에서만 사용하므로 디버깅 할 때도 마지막 반복변수 값은 무시하는 경우가 많죠.
이 알고리즘 처럼 반복변수 k의 값이 반복문을 빠져나온 뒤에도 계속 사용될 경우에는 반복문을 빠져 나올때의 반복 변수의 값이 중요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2-20 09:45:16
안녕하세요.
예를 들어 i가 4라면
반복문은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반복 k = 3, 1, -1 -> k를 3부터 1까지 -1씩 증가하면서 반복문을 실행
k는 처음 3을 가지고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치를 적용해 k가 2가 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하죠 아직 기준값보다 작지 않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치를 적용해 k가 1이 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하죠 아직 기준값보다 작지 않으므로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치를 적용해 k가 0이 된 상태에서 종료 기준값(1)과 비교하죠 기준값보다 작으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옵니다.
이때 반복변수 k의 값은 0인 상태로 빠져나옵니다.
반복문을 빠져나온 뒤 반복변수 k의 값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복문을 빠져나올때의 k 값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반복변수는 반복문 안에서만 사용하므로 디버깅 할 때도 마지막 반복변수 값은 무시하는 경우가 많죠.
이 알고리즘 처럼 반복변수 k의 값이 반복문을 빠져나온 뒤에도 계속 사용될 경우에는 반복문을 빠져 나올때의 반복 변수의 값이 중요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