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약조건에 보면 foreign key 설정할때 references 를 쓰게 되는데 361페이지에서는
s를 뺀 reference를 사용하였습니다. 둘다 맞는 것인가요?
2 제약조건에서 restrict와 no action을 사용할 때 정확히 구분을 못하겠습니다. 설명을 해주세요
3 primary key 나 PRIMARY KEY 와 같은 경우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나요?
4 기출문제집에 있는 2016년 6월 산업기사 알고리즘에서 1번 답이 N=N+1인데 그 전에 N= -1로 초기화 하는 부분이 보이지 않습니다. 위에서 초기화 해야 하는데 쓰지 않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1)
버전에 따라 references와 reference 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시된 지문의 내용 중 references나 reference가 이미 나와 있다면 동일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세요.
2)
Restrict는 Cascade와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옵션으로 테이블이 참조 중일 경우 제거 작업을 취소합니다.
no action은 참조 테이블에 변화가 있더라도 기본 테이블에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3)
대.소문자는 관계가 없습니다.
4)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 1 ) 바로 위에 N = -1로 초기화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 문제가 생겨 누락된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10-07 17:08:14
안녕하세요.
1)
버전에 따라 references와 reference 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시된 지문의 내용 중 references나 reference가 이미 나와 있다면 동일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세요.
2)
Restrict는 Cascade와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옵션으로 테이블이 참조 중일 경우 제거 작업을 취소합니다.
no action은 참조 테이블에 변화가 있더라도 기본 테이블에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3)
대.소문자는 관계가 없습니다.
4)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 1 ) 바로 위에 N = -1로 초기화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 문제가 생겨 누락된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