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알고리즘 푸는 과정에서 답변적을때 질문입니다.
제수/피제수/나머지/몫 등에 관련한 문구 작성할때
예를들어서 나머지(nmg)에 대한 정의라고 쳤을때
nmg 라는 변수를 설정해야되는데 책에서 보면 꼭
nmg = 나누어지는수 - ( 나누는 수 * 몫) 이런식으로 답에 써있던데
(강사님 알고리즘강의에서도 이렇게 나머지를 표현하시더라구요.)
저상황에서 그냥
nmg = mod(나누어지는수,나누는수)
이렇게 쓰면안되나요? 나머지구하는 함수 mod 사용해서요.
( 예를들어 7을 2로 나누는 것에대한 나머지를 구하려는 변수인데
책답보면 nmg = 7-(2*3) 이렇게 답을 적었더라구요
여기서 그냥 nmg = mod(7,2) 이렇게 하면 안되나 라고 여쭙고싶은겁니다.
------
그리고 조건문에서 부등호 기재할때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 기재 시
>= , <= 이렇게 답이 나가더라구요
근데 실제 시험시에는 >= <= 말고
≤ ≥ 이 기호로 작성해서 답안제출하면 안되나요?
공대생이라 기호가 익숙해서 전자보단 후자의 기호로 저도모르게 적어버리는데
후자의 기호도 답변으로 인정이 되는지요
--------
그리고 답변작성할때 변수 대소문자 주어진대로 같이 꼭 써야하나요?
물론 코딩할때 대소문자차이가 분명히 있긴하지만
사람이 적고 사람이보는 답변에서 대소문자도 꼭 다르게 써주어야 하나 궁금합니다.
이왕이면 같이 쓸텐데 정신없다보면 혹시 소문자로 적어낼수도있을것같아
혹시 안되면 주의하려구요..
예를들어 A B 라는 변수를 a b 로 적어낸다던지
NMG를 nmg로 적어낸다던지 이러면 안되는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3회 시험부터는 답안을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그래서 답안에 대한 명확한 범위가 문제의 내용이나 처리조건으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함수에 대한 내용일 언급될 것입니다.
함수 사용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교재와 같이 작성하는 것이 혹시 생길 수 있는 불이익이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경우 MOD(A, B) 또는 A MOD B 와 같이 프로그램 언어마다 조금씩 사용 방법이 달라 다르게 채점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등호 역시 논란이 될 수 있으므로 작성 방법에 대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되나 혹시 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에 출제되던 형식인
>, <, >=, <=, <> 와 같이 작성하는 것을 권합니다.
변경된 형식의 첫 시험이라 자세하게 제시된 답안 작성 방법은 없습니다.
대소문자 때문에 틀리게 채점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능하면 제시된 변수와 동일하게 작성하도록 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10-04 10:09:58
안녕하세요.
이번 3회 시험부터는 답안을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그래서 답안에 대한 명확한 범위가 문제의 내용이나 처리조건으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함수에 대한 내용일 언급될 것입니다.
함수 사용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교재와 같이 작성하는 것이 혹시 생길 수 있는 불이익이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경우 MOD(A, B) 또는 A MOD B 와 같이 프로그램 언어마다 조금씩 사용 방법이 달라 다르게 채점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등호 역시 논란이 될 수 있으므로 작성 방법에 대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되나 혹시 제시되지 않는다면 기존에 출제되던 형식인
>, <, >=, <=, <> 와 같이 작성하는 것을 권합니다.
변경된 형식의 첫 시험이라 자세하게 제시된 답안 작성 방법은 없습니다.
대소문자 때문에 틀리게 채점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능하면 제시된 변수와 동일하게 작성하도록 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