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페이지 순서도를 보며 의문이 들었는데요. 변수를 넣을 것 같은 윗부분에, 비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근데 그곳에서 어떤 값을 넣어야할지,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예를 들면, 초기화변수 밑에, L값이나 J값이 있는데, L값과 J값을 이미 존재하는데 M값도 있고요, 그 중에 J값을 넣는 부분을 봤는데요(84페이지) 이것은 왜 J를 선택해서 넣은것이고,
이 문제가 아닌 다른 문제를 풀때도, 변수를 초기화해서 입력하는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그리고 115페이지에 포함하여란 뜻은 A와 B의 더한값과 두수사이수의 합계와 평균을 구하란 값으로 들리는데, 정답을 보면 그게 아니네요.. 문제가 조금 헷갈립니다..
그리고, A와 B의 사이수의 합계를 더하라고 했는데, 예를 들어 A가 2고, B가 7인데, A에서 B로 1씩 증가한다면, 3~6의 사이수들의 합이 아닌, 답을 보면 2~7이 수들을 더하고, 합이 되는건데, 2와 7의 사이수는 3~6이 아닌가요? 이 부분도 헷갈리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
변수의 초기값은 해당 변수가 사용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변수의 초기화는 실질적인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지정 됩니다.
84쪽의 내용에서 보면 i는 자료를 입력받기 위한 배열의 위치 지정 변수로 입력받는 작업 전에 i = 0으로 초기화된 후
입력 작업이 시작됩니다.
6번 자리는 A배열로 입력받은 값 중에서 7과 가까운 값을 찾는 작업을 하기 바로 전 상태로
윗 작업과 아래 작업의 연결 변수에 대한 처리를 하거나
아래 작업에서 수행할 변수의 초기화 작업이 수행되는 자리입니다.
그리고 근사값을 찾을 때 중요한 것은 최소값을 반드시 초기화하고 진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최소값 변수의 초기화 작업이 없으므로 6번 자리가 최소값 초기화하는 자리로 생각해야 합니다.
2)
두 수 사이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증가치가 1이므로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반복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래서 A와 B의 크기 비교를 한 후 A가 크다면
A부터 B까지 1씩 증가하면서 그 값을 SUM에 누적합니다.
예를 들어 A가 2이고 B가 7이면
N은 2부터 7까지 1씩 증가하면서 누적되는데,
처음 N은 2부터 반복이 시작되므로
SUM = SUM+N
에 의해 SUM에 2가 누적, 다음에는 3이 누적 .... 마지막에는 7이 누적이 되어
2부터 7까지의 값이 누적(합계)됩니다.
그런 다음 평균은 2부터 7까지 6번 수행했으므로 AVG = SUM / CNT에서 CNT는 6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9-26 10:15:16
안녕하세요.
1)
변수의 초기값은 해당 변수가 사용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변수의 초기화는 실질적인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지정 됩니다.
84쪽의 내용에서 보면 i는 자료를 입력받기 위한 배열의 위치 지정 변수로 입력받는 작업 전에 i = 0으로 초기화된 후
입력 작업이 시작됩니다.
6번 자리는 A배열로 입력받은 값 중에서 7과 가까운 값을 찾는 작업을 하기 바로 전 상태로
윗 작업과 아래 작업의 연결 변수에 대한 처리를 하거나
아래 작업에서 수행할 변수의 초기화 작업이 수행되는 자리입니다.
그리고 근사값을 찾을 때 중요한 것은 최소값을 반드시 초기화하고 진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최소값 변수의 초기화 작업이 없으므로 6번 자리가 최소값 초기화하는 자리로 생각해야 합니다.
2)
두 수 사이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증가치가 1이므로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반복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래서 A와 B의 크기 비교를 한 후 A가 크다면
A부터 B까지 1씩 증가하면서 그 값을 SUM에 누적합니다.
예를 들어 A가 2이고 B가 7이면
N은 2부터 7까지 1씩 증가하면서 누적되는데,
처음 N은 2부터 반복이 시작되므로
SUM = SUM+N
에 의해 SUM에 2가 누적, 다음에는 3이 누적 .... 마지막에는 7이 누적이 되어
2부터 7까지의 값이 누적(합계)됩니다.
그런 다음 평균은 2부터 7까지 6번 수행했으므로 AVG = SUM / CNT에서 CNT는 6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