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가지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번호 순으로 문의드립니다!
1. 67페이지 3번부분 궁금합니다.
답이 BIG - MOK x SMALL 인데
MOD(BIG.SMALL)이어도 상관없지 않나요?
2. 144쪽에 2번부분 궁금합니다.
답이 J > N 인데 이 부분을
J >= N-1로 해도 상관 없나요?
3. 151쪽에 1번답이 >이고 2번답이 <=입니다.
그런데 1번답이 >=이고 2번답이 <여도 상관없지 않나요?..?
4. 반복문 부분에서 I = 1, 1, 1라고 조건식이 주어진다면
초기값이 1이지만 최종값이 1이므로 1회 실행을 하는지 아니면 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귀찮으시겠지만 1.2.3.4 질문 답 좀 부탁드립니다 이해가 안가서 이렇게 문의드려요ㅜ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1)
문제의 처리 조건에 MOD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된 경우에는 MOD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리 조건에 MOD 함수가 제시될 경우 사용 방법도 제시되므로 제시된 방법에 맞게 기재해야 합니다.
MOD(A, B) 인지, A MOD B인지 확인 후 기재하면 됩니다.
2)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역시 처리조건에 변수만을 이용해 구현하라는 조건이 있는 경우 J>N으로 하면 됩니다.
그러한 조건이 없다면 상수인 1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을 확인하여 그대로 처리해야 합니다.
3)
같은 경우 처리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어떻게 해도 관계가 없지만 이런 경우에는 처리조건에 같은 경우에 관한 처리 조건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니 이 또한 처리 조건을 정확히 파악한 후 답안을 기재해야 합니다.
4)
반복문은 초기값을 가지고 우선 1회 처리를 수행 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값으로 i가 2가 된 상태에서 종료기준값 1보다 크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오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9-19 09:35:05
안녕하세요.
1)
문제의 처리 조건에 MOD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된 경우에는 MOD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리 조건에 MOD 함수가 제시될 경우 사용 방법도 제시되므로 제시된 방법에 맞게 기재해야 합니다.
MOD(A, B) 인지, A MOD B인지 확인 후 기재하면 됩니다.
2)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역시 처리조건에 변수만을 이용해 구현하라는 조건이 있는 경우 J>N으로 하면 됩니다.
그러한 조건이 없다면 상수인 1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처리조건에 제시된 내용을 확인하여 그대로 처리해야 합니다.
3)
같은 경우 처리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어떻게 해도 관계가 없지만 이런 경우에는 처리조건에 같은 경우에 관한 처리 조건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니 이 또한 처리 조건을 정확히 파악한 후 답안을 기재해야 합니다.
4)
반복문은 초기값을 가지고 우선 1회 처리를 수행 합니다. 그런 다음 증가값으로 i가 2가 된 상태에서 종료기준값 1보다 크므로 반복문을 빠져나오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