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을 보니
k= int(J/2) X 2 // 홀짝을 판별할 값을 계산한다. 어떤 정수를 2로 나눈 몫에 다시 2를 곱할 경우 짝수면
원래의 수와 같고 홀수면 원래의 수 보다 1 작다 라고 나와있는데
J가 1일 경우 K가 0이고
J가 2일 경우 K가 2이고
J가 3일 경우 K가 2이고
J가 4일 경우 K가 4이고
J가 5일 경우 K가 4 인데
이렇게 홀수이든 짝수이든 계속해서 결과값은 짝수인 2,2,4,4,6,6,8,8 ... 로 나옵니다.
주석에 뜻을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ㅠ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J가 1일 때 K가 0이라면 원래 J보다 1 작으므로 J는 홀수입니다.
J가 2일 경우 K가 2라면 원래 J와 같으므로 J는 짝수입니다.
J와 K를 비교해서 J보다 K가 1작으면, 즉 같지 않으면 홀수, J와 K가 같으면 짝수가 됩니다.
우리는 1이 홀수이고 2가 짝수임을 알지만 컴퓨터는 이를 판별해야 하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판별을 하는 것입니다.
565쪽 해설 중 J와 K의 값을 비교하는 검은색 동그라미 ⑦번에서 홀짝이 판별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6-17 09:07:44
안녕하세요.
J가 1일 때 K가 0이라면 원래 J보다 1 작으므로 J는 홀수입니다.
J가 2일 경우 K가 2라면 원래 J와 같으므로 J는 짝수입니다.
J와 K를 비교해서 J보다 K가 1작으면, 즉 같지 않으면 홀수, J와 K가 같으면 짝수가 됩니다.
우리는 1이 홀수이고 2가 짝수임을 알지만 컴퓨터는 이를 판별해야 하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판별을 하는 것입니다.
565쪽 해설 중 J와 K의 값을 비교하는 검은색 동그라미 ⑦번에서 홀짝이 판별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