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배열 모의고사 7회
도서
[2014]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페이지
217
조회수
99
작성일
2016-05-30
작성자
첨부파일

순서도에서 2번부터 5번까지 정답유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해설에도 간략하게만 설명되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문제만 보고 분석했을때

배열P(X,Y) 배열Q(Y,6-X) 배열P(6-X,6-Y)

라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순서도 보니까 막혀요

분석도 잘못한거 같고

왜 순서도에서 (L,Y)가 나왔는지

정답이 (Y,H)인지 복잡해요 너무

답변
2016-05-31 09:41:26

안녕하세요.

위쪽의 반복문은 P 배열에 숫자를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아래쪽의 바깥쪽 반복문에서 X가 2일 때는

배열 P의 값을 배열 Q와 같이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는 과정입니다.

배열 P의 (1, 1) → 배열 Q의 (1, 5)

배열 P의 (1, 2) → 배열 Q의 (2, 5)

배열 P의 (1, 3) → 배열 Q의 (3, 5)

배열 P의 (1, 4) → 배열 Q의 (4, 5)

배열 P의 (1, 5) → 배열 Q의 (5, 5)

.

.

.

X가 2일 때는 배열 P의 값을 배열 Q로 오른쪽 90도 회전합니다.

Y가 1~5로 1씩 증가될 때마다 H는 1~5까지 1씩 증가됩니다.

그러므로 배열 P의 (L, Y) → 배열 Q의 (Y, H)로 저장되는 과정은

배열 P의 (5, 1) → 배열 Q의 (1, 1)

배열 P의 (4, 1) → 배열 Q의 (1, 2)

배열 P의 (3, 1) → 배열 Q의 (1, 3)

배열 P의 (2, 1) → 배열 Q의 (1, 4)

배열 P의 (1, 1) → 배열 Q의 (1, 5)

.

.

.

가 됩니다.

X가 1일 때는 배열 Q의 값을 배열 P로 오른쪽 90도 회전합니다.

Y가 1~5로 1씩 증가될 때마다 H는 1~5까지 1씩 증가됩니다.

그러므로 배열 Q의 (L, Y) → 배열 P의 (Y, H)로 저장되는 과정은

배열 Q의 (5, 1) → 배열 P의 (1, 1)

배열 Q의 (4, 1) → 배열 P의 (1, 2)

배열 Q의 (3, 1) → 배열 P의 (1, 3)

배열 Q의 (2, 1) → 배열 P의 (1, 4)

배열 Q의 (1, 1) → 배열 P의 (1, 5)

.

.

.

가 됩니다.

216쪽의 배열별 저장되는 표 값을 참조하여 차근히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확인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5-31 09:41:26

    안녕하세요.

    위쪽의 반복문은 P 배열에 숫자를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아래쪽의 바깥쪽 반복문에서 X가 2일 때는

    배열 P의 값을 배열 Q와 같이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는 과정입니다.

    배열 P의 (1, 1) → 배열 Q의 (1, 5)

    배열 P의 (1, 2) → 배열 Q의 (2, 5)

    배열 P의 (1, 3) → 배열 Q의 (3, 5)

    배열 P의 (1, 4) → 배열 Q의 (4, 5)

    배열 P의 (1, 5) → 배열 Q의 (5, 5)

    .

    .

    .

    X가 2일 때는 배열 P의 값을 배열 Q로 오른쪽 90도 회전합니다.

    Y가 1~5로 1씩 증가될 때마다 H는 1~5까지 1씩 증가됩니다.

    그러므로 배열 P의 (L, Y) → 배열 Q의 (Y, H)로 저장되는 과정은

    배열 P의 (5, 1) → 배열 Q의 (1, 1)

    배열 P의 (4, 1) → 배열 Q의 (1, 2)

    배열 P의 (3, 1) → 배열 Q의 (1, 3)

    배열 P의 (2, 1) → 배열 Q의 (1, 4)

    배열 P의 (1, 1) → 배열 Q의 (1, 5)

    .

    .

    .

    가 됩니다.

    X가 1일 때는 배열 Q의 값을 배열 P로 오른쪽 90도 회전합니다.

    Y가 1~5로 1씩 증가될 때마다 H는 1~5까지 1씩 증가됩니다.

    그러므로 배열 Q의 (L, Y) → 배열 P의 (Y, H)로 저장되는 과정은

    배열 Q의 (5, 1) → 배열 P의 (1, 1)

    배열 Q의 (4, 1) → 배열 P의 (1, 2)

    배열 Q의 (3, 1) → 배열 P의 (1, 3)

    배열 Q의 (2, 1) → 배열 P의 (1, 4)

    배열 Q의 (1, 1) → 배열 P의 (1, 5)

    .

    .

    .

    가 됩니다.

    216쪽의 배열별 저장되는 표 값을 참조하여 차근히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확인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