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4+5-6+7- ..... -98+99-100 의 결과를
구하는 알고리즘에서
괄호
1에 1
2에 N
4에 -1
5에 100이 들어가는 부분은
쉽게 유추할 수 있지만
3에 S가 들어가는 것은 수식이
좀 이상하다고 여겨집니다.
NYS
0 0 1
1 1 -1
2 x
x의 자리에서, Y=Y+SxN이라는
수식을 그대로 쓰면, =1+(-1X2)=-1 이 되어서 원래 -2가
들어가야 할 자리가 -1이 나와 버려서, S가 +1와 -1로 숫자값
정의되어 있는 이상 알고리즘에서의 역할도 숫자의 곰셈법칙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생각하고 풀이한 제 풀이와 다른 결과가 나와
답으로 연결되지가 않습니다.
Y=(Y+N)xS 였다면, Y+N을 더한 결과에 -가
적용되어서 자연스럽게 부호가 바뀌는구나 하고 이해가 될텐데
괄호가 없다면 연산순서에서 곱셈이 먼저여서 풀이가 이상해집니다.
스위칭 변수 S의 쓰임에 대해서
제가 모르는 점이 있다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수열의 형태는
1부터 100까지 1씩 증가되는 각 항의 값을 누적하는 것인데
이대 누적되는 각 항의 값을 한 번은 양수로, 한 번은 음수로 하여 누적합니다.
즉 Y = Y + N인데
N을 한 번은 N, 한 번은 -N으로 누적하는 것이죠.
이때 사용되는 S입니다.
Y = Y + (S * N)이며, *의 연산자 우선 순위에 의해 괄호를 제거하고
Y = Y + S * N으로 해도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4-04 10:31:32
안녕하세요.
수열의 형태는
1부터 100까지 1씩 증가되는 각 항의 값을 누적하는 것인데
이대 누적되는 각 항의 값을 한 번은 양수로, 한 번은 음수로 하여 누적합니다.
즉 Y = Y + N인데
N을 한 번은 N, 한 번은 -N으로 누적하는 것이죠.
이때 사용되는 S입니다.
Y = Y + (S * N)이며, *의 연산자 우선 순위에 의해 괄호를 제거하고
Y = Y + S * N으로 해도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