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사_알고리즘 (40페이지)
5번 답으로 제시된 답항 보기 21번 TM(K)+PM(K)와 7번 PM(K)+TM(K) 이 다른 내용인가요??
7번이 먼저 보여 5번 답으로 7번 선택했는 데 답은 21번이라고 되어 있네요
2. 산업기사_알고리즘 (48 페이지)
문제에서 단순히 정렬된 데이터가 저장된 배열이라고 하면, 이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었다고 해야 하는 건가요??
만약 내림차순이라면 답이 달라질 텐데, 이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요??
3. 산업기사_신기술 (50페이지)
답항보기 9. Trap Door 와 24번 Trapdoor 가 같은 용어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1)
일반적으로 값을 누적하는 경우는 A = A + 1과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A = 1 + A를 하더라도 결과는 동일하므로 실제 시험에 나왔다면 논란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답항보기는 21번을 답으로 하고 7번을 다른 값으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2)
정렬 기준이 명확히 제시가 되어야 하는데, 처리조건에 정렬 조건이 누락되었습니다.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한다거나 작은 값에서 큰 값 순으로 저장된다는 등의 조건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3)
같은 용어가 중복되어 제시되었습니다. 9번 보기를 다른 용어로 수정하겠습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4-04 09:52:53
안녕하세요.
1)
일반적으로 값을 누적하는 경우는 A = A + 1과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A = 1 + A를 하더라도 결과는 동일하므로 실제 시험에 나왔다면 논란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답항보기는 21번을 답으로 하고 7번을 다른 값으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2)
정렬 기준이 명확히 제시가 되어야 하는데, 처리조건에 정렬 조건이 누락되었습니다.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한다거나 작은 값에서 큰 값 순으로 저장된다는 등의 조건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3)
같은 용어가 중복되어 제시되었습니다. 9번 보기를 다른 용어로 수정하겠습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