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디버깅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도서
2016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페이지
조회수
131
작성일
2016-03-30
작성자
첨부파일

페이지 33,

채워넣을건 다 채워놓고 디버깅을 해보는데

"더하고 빼는 작업을 하나로 보고"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막상 처음 시작할때는 더하는 작업을 하고 나서 판단을 하고

i<99라고 판단을 하고 나서 빼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요..

빼는 작업을 하고 나서는 판단을 하지 않고 바로 더하는 작업으로 올라가버리는데

이 사이에는 4번과 같은 판단을 하지 않는데 디버깅할때 i:99칸에 <를 어떻게 쓸 수 있는건가요?

그리고 555페이지를 보고 답을 확인해보려고 했는데 i:99의 답은 중간에 끊어져있어서

어떻게 이해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TT

답변
2016-03-31 09:21:42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이란 일정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입니다.

i가 1부터 99까지 진행하는 동안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순서도를 통해 수험생이 파악해야 하는 것은 반복되는 패턴입니다.

반복되는 패턴이 확인되면 마지막까지 진행하지 않아도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울 수 있게 됩니다.

시험에서 요구하는 것은 마지막까지 수행한 최종 결과 값이 아니라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우는 것이니까요.

33쪽의 순서도는

1부터 99까지 진행하면서 처음 값은 더하고 다음 값은 빼는데

이 두 과정을 반복하는 순서도입니다.

중간의 판단 부분을 기준으로 (2 )에는 값을 더해서 누적하는 과정이

(5 )에는 값을 빼서 누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만 파악되면 굳이 마지막 값까지 디버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디버깅이란 이러한 반복 패턴을 찾아 빈 괄호를 채울 수 있을때까지만 수행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3-31 09:21:42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이란 일정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입니다.

    i가 1부터 99까지 진행하는 동안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순서도를 통해 수험생이 파악해야 하는 것은 반복되는 패턴입니다.

    반복되는 패턴이 확인되면 마지막까지 진행하지 않아도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울 수 있게 됩니다.

    시험에서 요구하는 것은 마지막까지 수행한 최종 결과 값이 아니라 순서도의 빈 괄호를 채우는 것이니까요.

    33쪽의 순서도는

    1부터 99까지 진행하면서 처음 값은 더하고 다음 값은 빼는데

    이 두 과정을 반복하는 순서도입니다.

    중간의 판단 부분을 기준으로 (2 )에는 값을 더해서 누적하는 과정이

    (5 )에는 값을 빼서 누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만 파악되면 굳이 마지막 값까지 디버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디버깅이란 이러한 반복 패턴을 찾아 빈 괄호를 채울 수 있을때까지만 수행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