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팽이 만들기
이 문제 정답에서 1) F=5 , 2) C=1 과 같이 1), 2) 을 바꾸어도 동일한 내용인데, 실제 문제에서 이런 경우 어떻게 정답처리 되는지요.
1) F=5 , 2) C=1
1) C=5 , 2) F=1
모두 정답처리 아니면, 답안 작성시 순서에 어떤 특별한 기준이 있는지요???
2 마방진
6번 명령문에서 지정된 수가 행의 배수인지 여부는 어떻게 유추해 낼수 있는지요??
다만 나머지가 0 인지 여부 판단하는 명령문6이 이미 지문으로 제시되어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 할 수 있었는 데, 만약 6번 명령문이 ( )로 제시되었다면 이를 어떻게 유추해 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1)
교재에는 우선 이해를 위한 것에 초첨을 맞췄고 답을 하나로 제시했기에 가능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는 답항이 제시되지 않도록 문제 출제가 선별됩니다.
혹 이런 경우에 대한 처리조건이 제시될 수도 있습니다.
변수는 대부분 변수를 선언하거나 초기화한 후 처리에 사용하는데,
간혹 처리하면서 선언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논리적으로 부적합하다고 하여
문제의 처리 조건에 논리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구현하라는 단서가 최근에서 처리조건에 제시됩니다.
이런 논리적인 형태말고 출제 오류로 인해 질문하신 이중 정답이 출제되었다면, 모두 정답 처리될 수 있습니다.
2)
마방진과 같이 처리 방식이 공식화 된 경우엔는 마방진이라는 개념을 기본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203쪽 하단에 제시된 마방진의 기본 원리인 5가지 처리 방식을 파악된 상태에서만 순서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마방진의 원리를 모른 상태에서 순서도를 봐도 아무리 해결할 수없다는 것이죠.
이와 같이 몇몇 알고리즘은 해당 알고리즘의 원리를 파악해야만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고 교재에 제시된 각각의 알고리즘은 그 원리를 먼저 이해한 후 순서도를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3-24 10:02:08
안녕하세요.
1)
교재에는 우선 이해를 위한 것에 초첨을 맞췄고 답을 하나로 제시했기에 가능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는 답항이 제시되지 않도록 문제 출제가 선별됩니다.
혹 이런 경우에 대한 처리조건이 제시될 수도 있습니다.
변수는 대부분 변수를 선언하거나 초기화한 후 처리에 사용하는데,
간혹 처리하면서 선언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논리적으로 부적합하다고 하여
문제의 처리 조건에 논리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구현하라는 단서가 최근에서 처리조건에 제시됩니다.
이런 논리적인 형태말고 출제 오류로 인해 질문하신 이중 정답이 출제되었다면, 모두 정답 처리될 수 있습니다.
2)
마방진과 같이 처리 방식이 공식화 된 경우엔는 마방진이라는 개념을 기본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203쪽 하단에 제시된 마방진의 기본 원리인 5가지 처리 방식을 파악된 상태에서만 순서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마방진의 원리를 모른 상태에서 순서도를 봐도 아무리 해결할 수없다는 것이죠.
이와 같이 몇몇 알고리즘은 해당 알고리즘의 원리를 파악해야만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고 교재에 제시된 각각의 알고리즘은 그 원리를 먼저 이해한 후 순서도를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