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에 말하는 2차원 배열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학생번호는 1~10까지 일련 번호인 바, J로 입력되는 숫자가 일련 번호를 갖는 학생 번호를 의미하면,
J>=10 이면 J와 DATA (2, J) 출력, 아니면 not found 출력 하면 되지, 왜 학생번호를 이분 검색하여 찾나요??
만약 입력되는 학생번호가 일련 번호가 아닌 임의수라면, 이는 유형 1 의 1차원 배열 이분검색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단지 출력되는 값이 임의의 학생번호가 아니라 이분 검색으로 찾은 학생번호가 갖고 있는 점수를 뜻한다면, 이 문제는 2차원 배열에서 배열요소 (n,m) 이 해당 배열의 n행, m열 값을 의미한다는 표기법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는 2차원 배열 이분 검색 문제와는 별개의 항목인 것 같은데...... 실제로 이런 유형의 문제가 실기 문제로 출제된 적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교재 유형1처럼 이분 검색은 1차원 배열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유형2는 이분 검색을 적용한 변형된 유형이라고 볼 수 있죠, 이는 이분 검색과 개념과 이차원 배열의 개념을 알고 있는지 파악하는 문제인데, 최근에는 소수를 구한 후 구해진 소수로 달팽이 모양이 배열은 하는 등 서로 다른 개념을 혼합하여 문제로 구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정보처리 실기 시험 중 알고리즘과 관련된 출제 기준은
1.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할 수 있다.
2.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3. 알고리즘 실무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단 3줄입니다. 그 동안 출제된 문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교재의 각 장을 구성한 것인데, 최근에는 각 장들의 내용을 서로 혼합하는 문제도 출제되고 있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개별적인 유형들을 이해한 후에는 변형될 수 있는 유형까지 학습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각 섹션에서 유형이 여러가지 있는 경우는 변형된 형태라고 이해한 후 학습하시면 됩니다.
시험에 나온 것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변형된 유형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범위를 조금 넓게 학습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3-21 09:47:06
안녕하세요.
교재 유형1처럼 이분 검색은 1차원 배열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유형2는 이분 검색을 적용한 변형된 유형이라고 볼 수 있죠, 이는 이분 검색과 개념과 이차원 배열의 개념을 알고 있는지 파악하는 문제인데, 최근에는 소수를 구한 후 구해진 소수로 달팽이 모양이 배열은 하는 등 서로 다른 개념을 혼합하여 문제로 구성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정보처리 실기 시험 중 알고리즘과 관련된 출제 기준은
1.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할 수 있다.
2.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3. 알고리즘 실무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단 3줄입니다. 그 동안 출제된 문제들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교재의 각 장을 구성한 것인데, 최근에는 각 장들의 내용을 서로 혼합하는 문제도 출제되고 있다는 것이죠. 그러므로 개별적인 유형들을 이해한 후에는 변형될 수 있는 유형까지 학습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각 섹션에서 유형이 여러가지 있는 경우는 변형된 형태라고 이해한 후 학습하시면 됩니다.
시험에 나온 것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변형된 유형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범위를 조금 넓게 학습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