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에서 2) Right=Right-1 , 4) Left=Left+1 과 같이 해도 되는 것 같네요
이 경우 각 반복문에서 Shift=i 로 설정한 변수 shift 가 사용되지 않아서, 정답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답이 Right / Left = Shift 라고도 될 수 있겠구나하고 생각은 했지만, 본인이 제시한 답도 맞다면, 효율성면에서 볼때 불필요한 변수및 연산과정을 최소화하여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것이 맞는 것 아닌가요??
단지 문제를 위해 알고리즘을 복잡하게 제시하는 건 좀 ..... 실제 실기 시험 문제에서도 이런 유형이 출제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시험 초기에는 문제에 함정도 있고 사용되지 않는 변수도 두면서 해당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의 의도를 파악한 후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알고리즘 문제가 고정된 하나의 유형이 아니라 변형된 유형에도 대비해야 하므로, 알고리즘을 이해한 후에는 조금씩 변형된 형태에서도 답을 유추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면 확실한 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무에서는 가장 최적화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시험에서 변별력 확인을 위해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경우를 확인하는 유형이 출제될 수도 있습니다.
교재에서는 대표적인 유형들만 제시한 것으로 교재의 섹션과 모의고사를 통해 같은 알고리즘이라고 다르게 진행하는 형태를 꼭 파악해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3-21 09:28:58
안녕하세요.
시험 초기에는 문제에 함정도 있고 사용되지 않는 변수도 두면서 해당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의 의도를 파악한 후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알고리즘 문제가 고정된 하나의 유형이 아니라 변형된 유형에도 대비해야 하므로, 알고리즘을 이해한 후에는 조금씩 변형된 형태에서도 답을 유추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면 확실한 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무에서는 가장 최적화한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시험에서 변별력 확인을 위해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경우를 확인하는 유형이 출제될 수도 있습니다.
교재에서는 대표적인 유형들만 제시한 것으로 교재의 섹션과 모의고사를 통해 같은 알고리즘이라고 다르게 진행하는 형태를 꼭 파악해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