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적으로 플로챠트 첫부분에 있는 변수와 조건을 문제에서 제시되는 것인지, 본인이 제시된 문제와 주어진 플로 챠트를 보고 유추해 내야 하는 조건인지요??
지금까지는 이 변수나 조건은 문제에서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유추해 내야 하는 것으로 알고 문제를 풀어 왔는 데 ( 특히 변수의 경우에는 문제에서 알려 주지는 않았을 듯) , 그렇다면, 배열의 첫번째 비트가 0 이면 이진수 이고, 1이면 그레이 코드라는 조건을 어떻게 유추할 수 있는지요???
만약 변수나 조건이 문제에서 제시된 것이라면 이는 플로챠트가 아니라 각 Section 첫부분에 있는 문제에 포함되어 기술되는 것이 적절할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변수의 용도와 같이 순서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알 수 있는 부분은 별도의 처리조건으로 설명이 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제시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고정된 것이 아니죠.
하지만 순서도를 작성한 사람의 의도에 따라 처리해야 하는 경우는 반드시 처리조건으로 주어집니다.
그레이코드와 이진수 변환과 같이 입력된 값에 따라 처리하는데, 입력된 값이 어떤 경우 어떻게 처리하라는 조건이 반드시 제시됩니다.
이는 누구나 알 수 있는 공식적인 내용이 아니라 작성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것이기 때문이죠.
교재는 문제를 제시하고 관련 내용의 이해를 설명한 후 순서도를 파악하는데, 순서도를 해결하기 위한 실제 처리조건 등은 순서도와 함께 구성해 놓았습니다. 물론 알고리즘의 이해가 생략되면 문제 후 바로 순서도와 처리조건이 나오며, 이는 실제 시험에서도 같은 구성으로 제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3-16 09:05:49
안녕하세요.
변수의 용도와 같이 순서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알 수 있는 부분은 별도의 처리조건으로 설명이 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제시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고정된 것이 아니죠.
하지만 순서도를 작성한 사람의 의도에 따라 처리해야 하는 경우는 반드시 처리조건으로 주어집니다.
그레이코드와 이진수 변환과 같이 입력된 값에 따라 처리하는데, 입력된 값이 어떤 경우 어떻게 처리하라는 조건이 반드시 제시됩니다.
이는 누구나 알 수 있는 공식적인 내용이 아니라 작성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것이기 때문이죠.
교재는 문제를 제시하고 관련 내용의 이해를 설명한 후 순서도를 파악하는데, 순서도를 해결하기 위한 실제 처리조건 등은 순서도와 함께 구성해 놓았습니다. 물론 알고리즘의 이해가 생략되면 문제 후 바로 순서도와 처리조건이 나오며, 이는 실제 시험에서도 같은 구성으로 제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