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입력되었다고 가정된 A 배열의 값 10100을 뒤에서부터 처리하기 위해 i를 5부터 1이될때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간단히 살펴보면
④번에 의해 C는 1이고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⑤번에 의해 i는 5가 됩니다.
⑥번에 의해 B(i) = A(i) - C, 즉 B(i) = 0 - 1, B(i) = -1이 됩니다.
⑦번에서 Yes가 되어 C는 1이 됩니다.
⑩번에 의해 B(i) = ABS(B(i)), 즉 B(i) = ABS(-1), B(i) = 1이 됩니다.
다시 ⑤번에 의해
i는 기존 5에서 -1 증가한 4가 된 후 ⑥~⑩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와 같이 처리하면 앞서 알고리즘의 이해 과정에서 처리한 형태로 순서도가 진행되어 결과적으로
B 배열에는 10110이 저장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3-14 10:10:52
안녕하세요.
입력되었다고 가정된 A 배열의 값 10100을 뒤에서부터 처리하기 위해 i를 5부터 1이될때까지 -1씩 증가하면서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간단히 살펴보면
④번에 의해 C는 1이고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⑤번에 의해 i는 5가 됩니다.
⑥번에 의해 B(i) = A(i) - C, 즉 B(i) = 0 - 1, B(i) = -1이 됩니다.
⑦번에서 Yes가 되어 C는 1이 됩니다.
⑩번에 의해 B(i) = ABS(B(i)), 즉 B(i) = ABS(-1), B(i) = 1이 됩니다.
다시 ⑤번에 의해
i는 기존 5에서 -1 증가한 4가 된 후 ⑥~⑩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와 같이 처리하면 앞서 알고리즘의 이해 과정에서 처리한 형태로 순서도가 진행되어 결과적으로
B 배열에는 10110이 저장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