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ection 053 기출 문제 ; 이 문제 2번 답으로 ER 도형이라고 하였는 데, ER 도형을 개념 Schema 를 표헌하는 대표적인 방법 (교재 276 전문가 조언) 중의 하나인 바, 이 문제의 경우 제시된 순서도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때 ER도형 보다는 개념적 스키마로 하여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2. 교재 280 페이지 ISA관계에서 ISA는 무엇의 약자인지요??
3. 288페이지 모의고사 1번 ER 도형에서 학생과 교수는 하나의 학과에 소속된다는 요구 사항이 반영되지 않았네요....
안녕하세요.
1)
문제의 다른 부분에 있는 같은 번호의 괄호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내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279쪽 두 번째 문단을 보면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는 ( ① )을(를) 바탕으로 ( ② )와(과) 같은 추상화 도구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추상화한 개념 스키마를 만든다.
에서 ( ② )번에 알맞은 것은 ER 도형뿐입니다. 개념 스키마가 문구에 제시되었기 때문이죠.
이를 고려하여 공통으로 들어갈 ②의 답을 ER도형으로 한 것입니다.
2)
ISA란 상속(Inheritance) 관계를 표현하는 것인데, 이와 관련된 약어일 것 같습니다. 확인이 되면 다시 답변드리겠습니다.
3)
실제 시험에서도 ER 도형으로 도식화 되지 않아도 개념적으로 요구 사항을 염두에 두고 풀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ER 도형만으로 내용을 파악하지 말고 요구 사항과 ER 도형을 함께 이해한 후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3-14 10:50:46
안녕하세요.
1)
문제의 다른 부분에 있는 같은 번호의 괄호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내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279쪽 두 번째 문단을 보면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는 ( ① )을(를) 바탕으로 ( ② )와(과) 같은 추상화 도구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추상화한 개념 스키마를 만든다.
에서 ( ② )번에 알맞은 것은 ER 도형뿐입니다. 개념 스키마가 문구에 제시되었기 때문이죠.
이를 고려하여 공통으로 들어갈 ②의 답을 ER도형으로 한 것입니다.
2)
ISA란 상속(Inheritance) 관계를 표현하는 것인데, 이와 관련된 약어일 것 같습니다. 확인이 되면 다시 답변드리겠습니다.
3)
실제 시험에서도 ER 도형으로 도식화 되지 않아도 개념적으로 요구 사항을 염두에 두고 풀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ER 도형만으로 내용을 파악하지 말고 요구 사항과 ER 도형을 함께 이해한 후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