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집 p.14에 나온 디버깅과정과
정답과해설에 나온 디버깅과정이 상이해서 이해가 잘 안됩니다.
기출문제집(p.14)에서는 i=7, J=28일때 NO로 가서 출력이 7.28로 끝나는데
정답과해설(p.6)에서는 i=99, J=50일때 NO로 출력되고, i=100, J=-50일때 공백이고 -50이 출력되는데요
기출문제집으로 공부한 원리로는 i=99일때는 YES가되고, i=100일때 NO가 출력되 결과가 -50이라고 이해하고
정답과해설을보니 혼란이옵니다.
게다가 정답과해설에서 바로옆 p.7에서는 i=90부터 99까지, J=0부터 50까지 모두 공백이지만 출력은 50이네요.
안녕하세요.
교재 1편 38쪽을 보시면 디버깅 결과 확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 시험지의 빈 여백을 이용해 디버깅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각 변수의 가로 위치는 무시하고 세로, 즉 각 변수의 값 변화만 공백없이 이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물론 공간이 충분하다면 가로의 위치까지 맞춰서 작성하면 좋습니다. 이러면 다른 사람이 해당 디버깅을 보고 이해할 때 편하죠. 하지만 시험은 본인만 확인할 수 있으면 되므로 공간 절약 차원에서 가로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디버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9-02 09:10:15
안녕하세요.
교재 1편 38쪽을 보시면 디버깅 결과 확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 시험지의 빈 여백을 이용해 디버깅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각 변수의 가로 위치는 무시하고 세로, 즉 각 변수의 값 변화만 공백없이 이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물론 공간이 충분하다면 가로의 위치까지 맞춰서 작성하면 좋습니다. 이러면 다른 사람이 해당 디버깅을 보고 이해할 때 편하죠. 하지만 시험은 본인만 확인할 수 있으면 되므로 공간 절약 차원에서 가로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디버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