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INPUT에 이진비트가 5개 들어가지만(INPUT의 크기 5)
INPUT의 첫 번째 비트는 XOR연산할 필요가 없이 그대로 이진수나 그레이코드로 땡겨오기 때문에
GRAY, BINARY의 크기가 4라고 이해했거든요..
(GRAY, BINARY는 변환된 자료를 저장하는 배열이므로)
(개념설명 : p.97, p.98)
제가 이해못하는 부분이······,
그레이코드를 이진수로 변환할 때
INPUT의 맨 첫 번째 비트를 가져온거랑 INPUT(2)를 XOR연산한 결과를
BINARY(1)에 넣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왜 그런 과정없이 순서도에서 BINARY(1)에 INPUT(2)를 바로 넣어준건가요???
(이미지파일 첨부했습니다.)
안녕하세요.
120쪽 예시 그림을 보면
그레이 코드를 2진수로 변환하거나 2진수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할 때 첫 번째 비트는 변환된 비트의 첫 번째 위치로 그대로 저장합니다.
INPUT 변수의 첫번째 비트, 즉 INPUT(1)은 저장된 값이 그레이 코드인지 2진수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실제 값은 INPUT(2)부터 INPUT(5)까지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환할 첫 번째 비트는 INPUT(2)가 됩니다.
변환할 첫 번째 비트인 INPUT(2)를 변환된 첫 번째 비트인 BINARY(1)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7-28 09:54:11
안녕하세요.
120쪽 예시 그림을 보면
그레이 코드를 2진수로 변환하거나 2진수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할 때 첫 번째 비트는 변환된 비트의 첫 번째 위치로 그대로 저장합니다.
INPUT 변수의 첫번째 비트, 즉 INPUT(1)은 저장된 값이 그레이 코드인지 2진수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실제 값은 INPUT(2)부터 INPUT(5)까지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환할 첫 번째 비트는 INPUT(2)가 됩니다.
변환할 첫 번째 비트인 INPUT(2)를 변환된 첫 번째 비트인 BINARY(1)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