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순서도에서 결국 몫(E)을 출력해야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왜 출력하는 부분인 ④에 들어갈 내용이 E가 아니라 A(E+1)이 답인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몫(E)은 0이나 1만 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A(1)이나 A(2)만 출력하게 되고,
A(1)이나 A(2)에 들어갔던 내용만 바뀌는거 아닌가요???
배열 A의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를 사용했다면 모를까(A(1)~A(15) 출력하면 되므로)
왜 A(E+1)이 출력돼야 하는건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배열의 위치와 배열에 저장된 값과 차이가 1만큼 있기 때문입니다.
배열의 위치는 1, 2, 3, 4, 즉 .. A(1), A(2), A(3) .. 과 같이 지정됩니다.
하지만 실제 해당 배열에 저장되어 있는 값은 A(1) = 0, A(2) = 1, A(3) = 2, ...와 같습니다.
결국 내가 1을 출력하고 싶다면 1이 기억된 위치인 A(2)를 지정해야 하며, 이 위치는 저장된 값보다 1이 더 많은 곳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E는 출력하고자 하는 값이며 실제 배열이 이 출력값이 기억된 위치는 E+1이 라는 것이죠. 그래서 A(E+1)을 하는 것입니다. 0을 출력하고 싶다면 A(0+1)이 되어 A(1)이 지정되며 A(1)이 저장된 0이 출력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7-27 09:49:27
안녕하세요.
배열의 위치와 배열에 저장된 값과 차이가 1만큼 있기 때문입니다.
배열의 위치는 1, 2, 3, 4, 즉 .. A(1), A(2), A(3) .. 과 같이 지정됩니다.
하지만 실제 해당 배열에 저장되어 있는 값은 A(1) = 0, A(2) = 1, A(3) = 2, ...와 같습니다.
결국 내가 1을 출력하고 싶다면 1이 기억된 위치인 A(2)를 지정해야 하며, 이 위치는 저장된 값보다 1이 더 많은 곳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E는 출력하고자 하는 값이며 실제 배열이 이 출력값이 기억된 위치는 E+1이 라는 것이죠. 그래서 A(E+1)을 하는 것입니다. 0을 출력하고 싶다면 A(0+1)이 되어 A(1)이 지정되며 A(1)이 저장된 0이 출력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