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 빈칸에서 J=1로 초기화를 하는데 JUMSU(1)의 값은 어차피 RANK가 1이고 JUMSU(1) 과 JUMSU(1)을 비교할 필요가 없으니 J=2로 초기화를 시켜 불필요한 계산( JUMSU(1)과 JUMSU(1)의 비교 )을 줄이고 처음부터 JUMSU(1)과 JUMSU(2)를 바로 비교하는게 맞지 않나요?
실제 시험에서 만약에 정답을 J=2라고 했을 때 오답 처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JUMSU(i) < JUMSU(J) 에서
앞의 JUMSU(i)는 기준이 되는 학생이고
뒤의 JUMSU(J)는 비교 대상이 되는 학생입니다.
즉, J를 1로 한 경우에는
첫번째 학생은
자신과 비교
두번째 학생과 비교
세번째 학생과 비교
네번째 학생과 비교
..
와 같이 비교하는데, 이 경우 첫번째 학생이 자신과 비교하는 과정이 의미 없이 반복됩니다.
매번 자신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되죠. 하지만
J를 2로 한 경우에는
첫번째 학생은
두번째 학생과 비교
세번째 학생과 비교
네번째 학생과 비교
..
와 같이 비교하여, 자신과 비교하는 과정이 생략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첫번째 학생의 경우뿐입니다.
두번째 학생은
자신과 비교
세번째 학생과 비교
네번째 학생과 비교
...
와 같이 비교하여, 첫번째 학생이 비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이후 세번째, 네번째 ... 학생들 모두 공통입니다.
즉 J를 2로하면 첫번째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학생의 성적 비교 대상에서 첫번째 학생이 제외되어 정상적인 순위 산출이 어렵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7-08 09:56:16
안녕하세요.
JUMSU(i) < JUMSU(J) 에서
앞의 JUMSU(i)는 기준이 되는 학생이고
뒤의 JUMSU(J)는 비교 대상이 되는 학생입니다.
즉, J를 1로 한 경우에는
첫번째 학생은
자신과 비교
두번째 학생과 비교
세번째 학생과 비교
네번째 학생과 비교
..
와 같이 비교하는데, 이 경우 첫번째 학생이 자신과 비교하는 과정이 의미 없이 반복됩니다.
매번 자신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되죠. 하지만
J를 2로 한 경우에는
첫번째 학생은
두번째 학생과 비교
세번째 학생과 비교
네번째 학생과 비교
..
와 같이 비교하여, 자신과 비교하는 과정이 생략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첫번째 학생의 경우뿐입니다.
두번째 학생은
자신과 비교
세번째 학생과 비교
네번째 학생과 비교
...
와 같이 비교하여, 첫번째 학생이 비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이후 세번째, 네번째 ... 학생들 모두 공통입니다.
즉 J를 2로하면 첫번째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학생의 성적 비교 대상에서 첫번째 학생이 제외되어 정상적인 순위 산출이 어렵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