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C) = MOK으로 처리한 경우
28, 14, 7까지는 산출되지만
MOK이 4일 경우 NMG도 4가 되어 나머지가 0이 안되므로 A 배열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즉 A(C) = MOK으로 처리한 경우
A 배열에 저장되는 값은
28, 14, 7 뿐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밑에 디버깅 문제로 답변해 주신 것 같은데요
MOK이 4일 경우 C=6,7이 있는데 6은 나머지가 4가 나와서 저장되지 않아도 7은 0이 나와서 저장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답안지 해설 보니까 MOK이 한칸씩 밀려있는거 같은데
MOK=INT(B/C) 인데 B=28이고 C=1일때 MOK는 28 아닌가요? 옆에 출력 칸에는 제데로 답이 나와있는데
NMG칸에 0으로 나온 수의 MOK을 보면 다 한칸씩 밀려있네요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을 다시 검토하여 디버깅을 수행해 보니 교재와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산출한 디버깅 결과를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세요.
참고로 교재의 정답에 표시된 디버깅 표는 실제 시험장의 협소한 디버깅 공간을 감안하여 각 변수의 가로의 위치는 무시하고 각 변수의 변화되는 값을 빈 공간 없이 이어서 작성한 것이므로, 각 변수의 가로의 위치는 맞지 않습니다.
하지만 각 변수의 변화 값만 확인하면 되므로 공간을 절약하여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이니 이점 참고하세요.
디버깅 결과 확인 관련 내용 : 교재 38쪽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7-03 09:17:25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을 다시 검토하여 디버깅을 수행해 보니 교재와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산출한 디버깅 결과를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세요.
참고로 교재의 정답에 표시된 디버깅 표는 실제 시험장의 협소한 디버깅 공간을 감안하여 각 변수의 가로의 위치는 무시하고 각 변수의 변화되는 값을 빈 공간 없이 이어서 작성한 것이므로, 각 변수의 가로의 위치는 맞지 않습니다.
하지만 각 변수의 변화 값만 확인하면 되므로 공간을 절약하여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이니 이점 참고하세요.
디버깅 결과 확인 관련 내용 : 교재 38쪽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