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이해가 전혀 안가는게, 처음부터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하는지 감이 안와요
예를 들면 41페이지 첫 시작문단을 보면 "이 문제는~ 앞에서 설명한 문제와 다르다 ..... 이 알고리즘은 초기항의 값을0에서 시작하도록 순서도를 만들면 된다"로 운을 떼며 나오는데, 대체 그것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뭡니까?
왜 0에서 시작하도록 순서도를 만들면 되는지 척보면 어떻게 그걸 알죠?
책에선 친절하게 얘길해주니까 아는거지만 시험에선 그런거 없잖아요~
지금 동영상강의도 구매해서 같이 보구 있는데 접근방식을 모르겠어요.
순서도에서 따라가면서 값구하는건 문제가 아닌데,
처음에 어떤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전혀 모르겠어요~제가 머리가 나빠서 그런가여?
정확한 접근방식좀 알려주세요. 뭘 어떻게 하란 거죠?
안녕하세요.
정보처리 실기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대부분 비전공자이므로 알고리즘 과목을 어려워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낯설기 때문입니다.
처음 영어를 공부할 때처럼 알고리즘이라는 낯선 내용으로 인해 일반 학습의 몇 배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죠.
알고리즘은 내용이 어려워서라기 보다는 내용이 낯설어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재의 내용을 몇 번 반복해서 읽어봐야 합니다. 처음에 이해되지 않아도 알고리즘의 이해를 읽고 순서도에 빈 괄호를 채워가며(답을 보고 미리 괄호에 답항을 넣어도 됩니다.) 무조건 디버깅을 해보는 것이죠. 괄호가 채워진 상태에서는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서 각 변수의 값 변화를 적어보기만 하면 되므로 어렵지 않고 읽을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2~3번 진행하면서 내용이나 용어가 낯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끝난 다음에는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다시 한번 처음부터 차분히 학습합니다. 그 이후 부터는 내용들이 하나씩 눈에 익혀지게 되며, 공통적인 알고리즘의 패턴도 파악되게 되는 것이죠.
합격수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준비하는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처음에는 힘들어 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 내용들이 눈에 들어오면 아~ 하고 패턴이 파악되며, 그 이후 부터는 빠르게 진도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으로 학습해야 준비가 가능하므로 알고리즘을 All Or Nothing(100점을 맞거나 아니면 0점을 맞는다)이라고 하는 것이죠.
또한 순서도의 초기값을 어떻게 주는지도 위와 같은 과정을 학습을 반복하다보면 순서도의 흐름(처리를 먼저하고 확인하는지, 학인을 먼저하고 처리하는 지 등) 안에서 파악이 가능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3-16 09:24:32
안녕하세요.
정보처리 실기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대부분 비전공자이므로 알고리즘 과목을 어려워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낯설기 때문입니다.
처음 영어를 공부할 때처럼 알고리즘이라는 낯선 내용으로 인해 일반 학습의 몇 배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죠.
알고리즘은 내용이 어려워서라기 보다는 내용이 낯설어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재의 내용을 몇 번 반복해서 읽어봐야 합니다. 처음에 이해되지 않아도 알고리즘의 이해를 읽고 순서도에 빈 괄호를 채워가며(답을 보고 미리 괄호에 답항을 넣어도 됩니다.) 무조건 디버깅을 해보는 것이죠. 괄호가 채워진 상태에서는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서 각 변수의 값 변화를 적어보기만 하면 되므로 어렵지 않고 읽을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2~3번 진행하면서 내용이나 용어가 낯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이러한 과정이 끝난 다음에는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다시 한번 처음부터 차분히 학습합니다. 그 이후 부터는 내용들이 하나씩 눈에 익혀지게 되며, 공통적인 알고리즘의 패턴도 파악되게 되는 것이죠.
합격수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준비하는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처음에는 힘들어 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 내용들이 눈에 들어오면 아~ 하고 패턴이 파악되며, 그 이후 부터는 빠르게 진도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으로 학습해야 준비가 가능하므로 알고리즘을 All Or Nothing(100점을 맞거나 아니면 0점을 맞는다)이라고 하는 것이죠.또한 순서도의 초기값을 어떻게 주는지도 위와 같은 과정을 학습을 반복하다보면 순서도의 흐름(처리를 먼저하고 확인하는지, 학인을 먼저하고 처리하는 지 등) 안에서 파악이 가능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