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넥타이가 책에는 A(7,7)행으로 구성되어 잇는데 J는 열인건 알겟고 J=1,N,1씩 증가한다고 써잇습니다 N=7인게 7행 7열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구요 그런데 저는 이해가 안 가는 점이 J
안녕하세요.
J는 1부터 N까지, 즉 7까지 1씩 증가합니다.
J는 열로 사용되지만 증가되는 값의 변화 형태가
중간(CT) 행이 될 때까지의 열이 시작값인 S와
중간(CT) 행 이후의 열의 끝 값인 F와 같습니다.
그래서 J
또한
중간(CT) 행이 될 때까지의 열의 끝 값은 7, 6 ,5, 3 , 2, 1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중간(CT) 행 이후의 열의 끝 값은 3, 2, 1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즉 N-J+1을 적용하면 열의 변화값인 7, 6, 5, 4, 3, 2, 1을 산출할 수 있고
이 것을 중간(CT) 행을 기준으로 J
배열을 파악할 때는 배열 섹션마다 설명되는 알고리즘의 이해처럼 각 배열의 값 변화를 먼저 파악해 본 후 이를 순서도와 연계하면서 이해하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2-27 09:34:52
안녕하세요.
J는 1부터 N까지, 즉 7까지 1씩 증가합니다.
J는 열로 사용되지만 증가되는 값의 변화 형태가
중간(CT) 행이 될 때까지의 열이 시작값인 S와
중간(CT) 행 이후의 열의 끝 값인 F와 같습니다.
그래서 J
또한
중간(CT) 행이 될 때까지의 열의 끝 값은 7, 6 ,5, 3 , 2, 1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중간(CT) 행 이후의 열의 끝 값은 3, 2, 1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즉 N-J+1을 적용하면 열의 변화값인 7, 6, 5, 4, 3, 2, 1을 산출할 수 있고
이 것을 중간(CT) 행을 기준으로 J
배열을 파악할 때는 배열 섹션마다 설명되는 알고리즘의 이해처럼 각 배열의 값 변화를 먼저 파악해 본 후 이를 순서도와 연계하면서 이해하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