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집에있는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시키는것과는 양상이 좀다른데
변수에 대한 설명없이 디버깅으로 찾아가는 과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혼자 알고리즘을 파악해 디버깅해서 찾아가는게 어렵네요ㅜㅜ
안녕하세요.
입력된 값에 따라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로 이진수는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것은 교재 99쪽의 순서도와 같습니다.
여기에 이진수인 경우 십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이 추가되었는데,
일반적인 이진수를 십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이 반복문을 이용해 그대로 수행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11의 경우
(1 × 2의3승) + (0 × 2의 2승) + (1 × 2의 1승) + (1 × 2의 0승)
= (1 × 8) + (0 × 4) + (1 × 2) + (1 × 1)
= 8 + 0 + 2 + 1
= 11
이 산출되는 과정이 반복문으로 구현된 것입니다.
반복 변수 K는 1~4까지 반복하면서
2의 (4-K)승이 수행되는데, 결국 2의 3승 부터 2의 0승까지 구현되는 것이죠.
이 과정을 염두에 두면서 빈 괄호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10-06 10:17:40
안녕하세요.
입력된 값에 따라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로 이진수는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것은 교재 99쪽의 순서도와 같습니다.
여기에 이진수인 경우 십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이 추가되었는데,
일반적인 이진수를 십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이 반복문을 이용해 그대로 수행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11의 경우
(1 × 2의3승) + (0 × 2의 2승) + (1 × 2의 1승) + (1 × 2의 0승)
= (1 × 8) + (0 × 4) + (1 × 2) + (1 × 1)
= 8 + 0 + 2 + 1
= 11
이 산출되는 과정이 반복문으로 구현된 것입니다.
반복 변수 K는 1~4까지 반복하면서
2의 (4-K)승이 수행되는데, 결국 2의 3승 부터 2의 0승까지 구현되는 것이죠.
이 과정을 염두에 두면서 빈 괄호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디버깅을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