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H)가되는지 모르겠다.
안녕하세요.
해설 85쪽을 참고하시면,
P 배열에 숫자를 저장하는 앞쪽 반복문에서는 X는 행, Y는 열이 됩니다.
이후 아래쪽 배열 중 가장 바깥쪽 배열의 X 값이 2일 때는 P 배열을 Q 배열로 이동하는 과정이고
X 값이 1일 때는 Q 배열의 값을 다시 P 배열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즉 X가 2일 때는 P 배열을 Q 배열로 이동해야 하므로 P 배열의 행(Y)과 열(H)의 값을 Q 배열의 행(L)과 열(Y)로 이동하고
X가 1일 때는 Q 배열을 P 배열로 이동해야 하므로 Q 배열의 행(Y)과 열(H)의 값을 P 배열의 행(L)과 열(Y)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면 빈 괄호를 우선 채운다음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변수의 변화와 배열의 이동 과정을 살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9-23 09:20:53
안녕하세요.
해설 85쪽을 참고하시면,
P 배열에 숫자를 저장하는 앞쪽 반복문에서는 X는 행, Y는 열이 됩니다.
이후 아래쪽 배열 중 가장 바깥쪽 배열의 X 값이 2일 때는 P 배열을 Q 배열로 이동하는 과정이고
X 값이 1일 때는 Q 배열의 값을 다시 P 배열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즉 X가 2일 때는 P 배열을 Q 배열로 이동해야 하므로 P 배열의 행(Y)과 열(H)의 값을 Q 배열의 행(L)과 열(Y)로 이동하고
X가 1일 때는 Q 배열을 P 배열로 이동해야 하므로 Q 배열의 행(Y)과 열(H)의 값을 P 배열의 행(L)과 열(Y)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면 빈 괄호를 우선 채운다음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변수의 변화와 배열의 이동 과정을 살펴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