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4 번 해답을 보아도 잘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L 변수의 용도가
위쪽 반복문에서는 열의 끝 위치로 사용되고
아래쪽 반복문에서는 열의 시작 위치로 사용됩니다.
모래시계 배열은
1~3행까지 진행할 때는 열의 끝 위치가 1씩 감소하고
4~5행까지 진행할 때는 열의 시작 위치가 1씩 감소합니다.
그러므로
1~3행까지 진행할 때 열의 끝 위치, 즉 J는 i부터 L까지 1씩 증가하면서 채워 갑니다.
4~5행까지 진행할 때 열의 시작 위치, 즉 J는 L부터 i까지 1씩 증가하면서 채워 갑니다.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으면,
앞선 내용들을 토대로 순서도의 빈 괄호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변수의 값 변화를 확인해 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
*2014-09-11 09:11:20
안녕하세요.
L 변수의 용도가
위쪽 반복문에서는 열의 끝 위치로 사용되고
아래쪽 반복문에서는 열의 시작 위치로 사용됩니다.
모래시계 배열은
1~3행까지 진행할 때는 열의 끝 위치가 1씩 감소하고
4~5행까지 진행할 때는 열의 시작 위치가 1씩 감소합니다.
그러므로
1~3행까지 진행할 때 열의 끝 위치, 즉 J는 i부터 L까지 1씩 증가하면서 채워 갑니다.
4~5행까지 진행할 때 열의 시작 위치, 즉 J는 L부터 i까지 1씩 증가하면서 채워 갑니다.
그래도 잘 이해되지 않으면,
앞선 내용들을 토대로 순서도의 빈 괄호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디버깅을 수행하면서 각 변수의 값 변화를 확인해 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