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와 J 값이 배열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라고 하는데
정확히 J가 이해가 안되서 해석을 봐도 잘 모르겠어요,
왜 i J
5 3
4 2
1
이렇게 되는지....
안녕하세요.
i는 2의 보수로 변환하기 위해 A와 B 배열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변수로
i는 5부터 1까지 -1씩 증가합니다. 즉 5, 4, 3, 2, 1로 변화되면서 각 배열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2의 보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맨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1이 나올때까지 그냥 써주고 나머지는 반대로 써주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i는 5, 4까지만 변화됩니다.
J는 i-1부터 1까지 -1씩 증가합니다.
즉 i는 4까지만 변화했으므로
J는 i-1, 즉 3부터 1까지 -1씩 증가하여 3, 2, 1로 변화되면서 각 배열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을 먼저 확실히 이해한 후 각 과정을 순서도에 연관지어 이해를 하면 쉽습니다.
이 때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우선 빈 괄호를 채워서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과 연관지어가며 디버깅을 먼저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8-25 09:29:23
안녕하세요.
i는 2의 보수로 변환하기 위해 A와 B 배열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변수로
i는 5부터 1까지 -1씩 증가합니다. 즉 5, 4, 3, 2, 1로 변화되면서 각 배열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2의 보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맨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1이 나올때까지 그냥 써주고 나머지는 반대로 써주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i는 5, 4까지만 변화됩니다.
J는 i-1부터 1까지 -1씩 증가합니다.
즉 i는 4까지만 변화했으므로
J는 i-1, 즉 3부터 1까지 -1씩 증가하여 3, 2, 1로 변화되면서 각 배열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을 먼저 확실히 이해한 후 각 과정을 순서도에 연관지어 이해를 하면 쉽습니다.
이 때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우선 빈 괄호를 채워서 알고리즘의 이해 부분과 연관지어가며 디버깅을 먼저 수행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