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초기화 할때...
A=1
B=1
HAP=2
이런식으로하는데....
코딩할떄는 초기화 아무숫자로 해도 되서 0으로 자주하는데...
꼭 이렇게 지켜서 해야대나요? 변수에따라 합 초기화가 달라진다고 인강에서 그러셨는데...
확실히 알려주세요 ㅎㅎ
안녕하세요.
초기값은 말 그대로 순서도의 처리에 맞게 처음에 지정하는 값으로 순서도의 형태나 처리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2+3+4 ... 와 같은 수열의 순서도를 작성하는데
i = i + 1과 같이 진행한다면
i의 초기값은 i = i + 1이 된 후 첫번째 수열의 항 1이 만들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초기값을 0으로 지정합니다.
그래야 i = i + 1을 처음 수행한 후 첫 항이 1이 되니까요.
그런데 0+1+2+3+ ... 와 같은 수열을 만드는데,
i = i + 1과 같이 진행한다면 첫번째 항인 0을 만들려면 초기값으로 -1을 지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i = i + 1을 처음 수행한 후 첫항인 0이 만들어지니까요.
이와 같이 순서도에서 처리할 대상과 처리 방법에 따라 초기값은 달라진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6-30 10:20:11
안녕하세요.
초기값은 말 그대로 순서도의 처리에 맞게 처음에 지정하는 값으로 순서도의 형태나 처리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2+3+4 ... 와 같은 수열의 순서도를 작성하는데
i = i + 1과 같이 진행한다면
i의 초기값은 i = i + 1이 된 후 첫번째 수열의 항 1이 만들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초기값을 0으로 지정합니다.
그래야 i = i + 1을 처음 수행한 후 첫 항이 1이 되니까요.
그런데 0+1+2+3+ ... 와 같은 수열을 만드는데,
i = i + 1과 같이 진행한다면 첫번째 항인 0을 만들려면 초기값으로 -1을 지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i = i + 1을 처음 수행한 후 첫항인 0이 만들어지니까요.
이와 같이 순서도에서 처리할 대상과 처리 방법에 따라 초기값은 달라진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