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7쪽에 미트맵 인덱스를 보면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고나오는데 분포도가 나쁜컬럼에 적합한게 맞지않은가해서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성별 과같이 분포도가 나쁜 컬럼이있고, 이름처럼 약간 분포도가 좋은 컬럼이있고 등 예시를 통해
분포도에 대한 개념은 이해를 했는데요
비트맵 인덱스와 역방향 인덱스가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분포도가 낮은 성별의 경우 남자와 여자 로있는데 이걸 비트맵인덱스화 한다고 해도
남자 =00 여자=11 로 표현하면 그래도 분포도가 똑같은것 같은데
비트맵인덱스가 왜 분포도가 나쁜컬럼에적합해서 더 좋게 쓰이게 되는지
그리고
역방향인덱스의 경우 릴레이션의 등록날짜라 할경우 1102 1103 1104 이런것이
2011 3011 4011 이렇게 되어 불균형문제를 해결하는것은 이해하겠는데요 ,
역방향인덱스가 어떻게 되어 데이터 분포도가 좋아지며 왜 검색 성능이 좋은지에 대해 모르겠습니다.
1102 1103 1104 이건 2011 3011 4011 이건 둘의 분포도는 차이가없지않나요?
(예를 들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수험서는 학습에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학습하고 있는 교재의 내용은 실제 학과 과정에서 학습할 내용의 20~30%만 압축하여 수록한 것으로 시험에 나오는 내용 위주로 합격점을 목표로 다루고 있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교재의 내용으로 관련 내용을 확실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또 그런 부분을 확실히 이해해야 만 시험 문제를 맞출 수 있다는 것은 아니죠. 개념만 잡고 있어도 맞출 수 있는 문제가 대부분 이기에 학습의 범위와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덱스 관련 내용도 분포도의 개념만 명확히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분포도란 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숫자가 적은 경우 분포도가 좋다고 합니다.
즉 분포도가 낮을 수록 좋다고 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이름으로 인덱스를 선정한다고 할때
전체 레코드가 100일 때
'홍' 으로 지정하면 약 50개가 나온다고 하면
'홍길'로 하면 그보다 적은 20개
'홍길동'으로 하면 그보다 적은 5개 정도가 나온다고 가정할 때
가장 분포도가 좋은 것은 '홍길동'으로 할 때 입니다. 즉 분포도가 적은 것이 가장 좋은 것이죠.
검색 대상이 적을 수록 효과적인 인덱스가 되니까요.
각 인덱스의 종류별로 특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면 단순한 예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우선
비트맵 인덱스는 Bit 값인 0 또는 1로 변환하여 인덱스 키를 사용한다는 것과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는 것 등 교재에 수록된 내용 정도만으로 시험에 대비한 후 향후 관련 내용에 좀더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신다면 전공 서적으로 통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역방향 인덱스는 B-트리 인덱스에서 루트에서 하위 노드로 키 값을 비교하는 과정의 역으로 키 값을 비교하면서 진행하다는 내용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7-01 10:43:02
안녕하세요.
수험서는 학습에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학습하고 있는 교재의 내용은 실제 학과 과정에서 학습할 내용의 20~30%만 압축하여 수록한 것으로 시험에 나오는 내용 위주로 합격점을 목표로 다루고 있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교재의 내용으로 관련 내용을 확실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또 그런 부분을 확실히 이해해야 만 시험 문제를 맞출 수 있다는 것은 아니죠. 개념만 잡고 있어도 맞출 수 있는 문제가 대부분 이기에 학습의 범위와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덱스 관련 내용도 분포도의 개념만 명확히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분포도란 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숫자가 적은 경우 분포도가 좋다고 합니다.
즉 분포도가 낮을 수록 좋다고 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이름으로 인덱스를 선정한다고 할때
전체 레코드가 100일 때
'홍' 으로 지정하면 약 50개가 나온다고 하면
'홍길'로 하면 그보다 적은 20개
'홍길동'으로 하면 그보다 적은 5개 정도가 나온다고 가정할 때
가장 분포도가 좋은 것은 '홍길동'으로 할 때 입니다. 즉 분포도가 적은 것이 가장 좋은 것이죠.
검색 대상이 적을 수록 효과적인 인덱스가 되니까요.
각 인덱스의 종류별로 특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면 단순한 예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우선
비트맵 인덱스는 Bit 값인 0 또는 1로 변환하여 인덱스 키를 사용한다는 것과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는 것 등 교재에 수록된 내용 정도만으로 시험에 대비한 후 향후 관련 내용에 좀더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신다면 전공 서적으로 통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역방향 인덱스는 B-트리 인덱스에서 루트에서 하위 노드로 키 값을 비교하는 과정의 역으로 키 값을 비교하면서 진행하다는 내용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