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155 주어진 예제를 통해 그함수의 원리는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예를들어
A(10) (1),(2),(5),(7),(0),( ),( ),( ),( ),( )
B(10) (2),(3),(4),(7),(0),( ),( ),( ),( ),( )
C(20)
이렇게 갯수가 같고 끝의 경우가같은경우
이경우 정렬을 하다 보면 C(20)에 1,2,3,4,5 까지들어온후
7이 같게 되어서 ⑥에서 같다고 실행되어 i=i+1 J=J+1 이 실행되고 13에서 A(i)=0 이 yes가 되어
BB로 가게되는데요이렇게 되면 BB의 19에서의 C(K)=B(J) 가 실행되면 C(k)에 0이 들어가고
J=J+1을 해준후 20에서 B(J)=0 을물어볼때 아무것도 없는 B(J)를 YES,N0로 답하는건 오류가아닌가 해서
13의 앞에다가 A(i) =0 & B(i)=0 일시 DD로 가는 문을 추가해야하지 않나 해서요!!!!!!
질문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A와 B 배열에 동일한 값이 연속된 후 바로 0값을 맞나 종료가 되어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하려면 어느 한쪽이 0으로 판단된 경우 i와 J를 모두 증가시킨 후 A와 B 배열 모두 값이 0인지를 판단하여 0인 경우 DD로 진행을 옮겨 종료하도록 해야 합니다.
언급하신데로 이와 같은 경우까지 고려될 수 있도록 향후 교재 작업 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4-06-23 09:32:08
안녕하세요.
A와 B 배열에 동일한 값이 연속된 후 바로 0값을 맞나 종료가 되어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하려면 어느 한쪽이 0으로 판단된 경우 i와 J를 모두 증가시킨 후 A와 B 배열 모두 값이 0인지를 판단하여 0인 경우 DD로 진행을 옮겨 종료하도록 해야 합니다.
언급하신데로 이와 같은 경우까지 고려될 수 있도록 향후 교재 작업 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