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좀 알려주세요 모르겠어요 ㅠㅠ
1.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그래픽카드나 그래픽 코어를 장착해서, 3D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여 성능(프레임 수 증가와 화질의 향상)의 향상을 꿰하는 nVidia의 기술로서 ( )는 PCI-Express에서만 구현할 수 있고 AGP에서는 불가능하다. 현재는 2개의 그래픽카드 즉 2개의 그래픽코어를 사용하는 것과 함께 4개의 그래픽코어를 사용한 쿼드 ( )기술도 선보여져있다. ATi에는 Cross Fire라는 것이 있다.
2.( )는 몇 번이고 데이터를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는 메모리를 말하는 것으로 롬은 한번 기록한 것은 지울 수없는 저장매체를 말한다. 초창기에 나온 컴퓨터의 경우 롬 바이오스를 수정할 수 없게 만들었었지만 요즘은 롬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 )를 사용한다. ( )는 롬과 램의 중간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3.( )는 인텔이 제안한 새로운 형식의 메인보드 규격으로 기존의 메인보드에 비하여 높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부품을 일렬로 배치하고 공기 흐름을 개선해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로 인하여 소음도 줄어드는 효과를 낸다. 즉 ( )가 도입된 가장 큰 이유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냉각 성능을 높이고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메인보드 디자인을 개선해서 CPU에 전원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겼고 부품들의 복잡한 배치를 단순화하여 하였다. 또한 부품의 확장성도 좋아져서 성능이 좋은 그래픽카드 등을 장착할 때 공간이 모자라는 문제 등을 해결했다.
4.( )이란 한 개의 CPU인데 이것을 소프트웨어 적으로 두개의 CPU가 있는 것처럼 행동 하게 만든 인텔의 CPU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물리적인 숫자가 1개인데 두 개인 것처럼 동작 하는 것이므로 그렇게 큰 효과는 없다. 하지만 약간의 속도차이는 있으며 또한 멀티태스킹 시 유리 하며 일반 한 개의 프로그램 작동 시는 효과를 보지 못한다.
5.( )란 한마디로 컴퓨터 반제품이다. 지금까지 피시는 완제품과 조립품으로 구분되어 조립품은 케이스와 메인보드가 따로 다로 구입했는데 요즘 컴퓨터가 소형화 되면서 표준화된 케이스나 메인보드로서는 소형화가 힘들어 메인보드 회사가 케이스까지 세트로 하여 만들어 파는 것을 말한다. 보통 ( )에는 케이스, 메인보드, 파워 등으로 구성되는데 간혹 slim cd-rom 이나 slim FDD를 쓰도록 설계한 것은 두 부분이 선택사양으로 하여 같이 공급되기도 한다. 그리고 대부분 메인보드는 vga, sound, lan이 기본 내장하고 IEEE1394를 선택사양으로 한다.
6.동영상은 여러 개의 정지 영상들의 모음으로,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정지된 여러 이미지들을 1초에 지정된 개수만큼 모아서 보여준다. 이렇게 되면 10분짜리 동영상을 보려면 파일의 크기가 엄청나게 커지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 )으로 동영상 압축 기술을 말한다.
7.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로 네트워크의 속도가 느릴 때, 어디에서 문제를 일으키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특정 네트워크에 도착하기까지의 경로를 보여주고, 각 네트워크의 Ping 타임을 보여주는 명령어는? ( )
8.( )란 사용자의 컴퓨터에 몰래 숨어 들어와 개인 정보를 빼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주로 개인정보를 필요로 하는 광고업체 등에 판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 ) 는 컴퓨터 바이러스 또는 셰어웨어나 프리웨어에 광고가 들어가 있는 애드웨어에 붙어 딸려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이 인터넷 상에서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 등의 정보를 수집해 광고회사의 표적광고에 적절히 사용되기도 한다. 이 같은 정보 수집을 위해 주로 컴퓨터 내 ‘쿠키’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9.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다시 설치하려 할 때, 윈도우 제품 번호를 잊어버렸다. 이런 경우 레지스트리 편집기의 ( ) 폴더 안에서 해당제품의 제품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10.( )는 좁은 범위 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용 PC, 휴대폰을 비롯한 이동가능한 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주는 기술명세를 말한다.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과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준다. 2.4GHz의 높은 무선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방해물이 있을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며, 게다가 소비전력이 2.7V 전압에서 100mW 이하에 불과하며 움직이면서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보 기 |
|
1) SLI 2) IrDA 3) BTX 4) 블루투스 5) 슬림PC 6) Tracert 7) HKEY_Local_Machine 8) 데이타그램 9) 플래쉬 메모리 10) SDRAM 11) ATX 12) E-PROM 13) HKEY_CURRENT_CONFIG 14) USB 15) TCPIP |
16) PCI 17) HKEY_CURRENT_USER 18) 하이퍼쓰레딩 19) 바이러스 20) IEE1394 21) HLI 22) HKEY_USERS 23) 베어본PC 24) PING 25) 스파이웨어 26) m_ATX 27) LOOKUP 28) KTX 29) DMB 30) 코덱 |
[보기]
BIOS
11
SHELL
21
부트 섹터(Boot Sector)
2
msconfig
12
IRQ
22
DVD-ROM
3
듀얼CPU
13
RAID
23
MPC
4
DMB
14
SATA
24
SCSI
5
하드디스크
15
USB
25
CD-RW
6
SDRAM
16
DVD-RAM
26
IEEE1394
7
Ntdetect.com
17
Overlay
27
ipconfig
8
CONVERT
18
커널(Kernel)
28
VFAT
9
리피터
19
블루투스
29
DVD-RW
10
듀얼코어
20
하이퍼쓰레딩
30
RS-232C
안녕하세요.
컴퓨터운용사 실기시험 과제를 올리셨네요.
각각의 용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학습한다는 생각으로 직접 검색을 해 보면서 용어의 개념들을 파악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10-28 09:33:13
안녕하세요.
컴퓨터운용사 실기시험 과제를 올리셨네요.
각각의 용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학습한다는 생각으로 직접 검색을 해 보면서 용어의 개념들을 파악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