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디스크 스케줄링에 대해...
도서
[2013] SUMMARY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130
조회수
329
작성일
2013-05-31
작성자
첨부파일

N-Step SCAN

- SCAN 기법의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을 제거한 것으로, 어떤 방향의 진행이 시작될 당시에 대기중이던 요청들만 처리하고, 진행 도중 도착한 요청들은 한데 모아서 다음의 반대 방향 진행 때 서비스하는 기법.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SCAN의 무한 대기 발생이 뭔지 궁금합니다.

SCAN의 설명을 보면 현재 헤드 위치에서 짧은 거리 요청쪽으로 쭉 진행한 뒤 끝을 찍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양끝에 생기는 요청은 대기시간이 길 뿐, 무한 대기는 생기지 않을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2013-06-04 09:04:49

안녕하세요.

SCAN 기법은 진행 방향이 결정되면 탐색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그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고 끝까지 이동한 후 역방향의 요청 상항을 서비스합니다.

이 기법에서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은 진행 도중에 도착한 요청들을 기존 진행들과 함께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최악의 상태에서는 진행 방향으로 탐색 거리가 짧은 작업 들이 주기적으로 도착하면 진행 방향의 끝 작업은 물론 역방향의 작업들도 무한 대기할 수 있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3-06-04 09:04:49

    안녕하세요.

    SCAN 기법은 진행 방향이 결정되면 탐색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그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고 끝까지 이동한 후 역방향의 요청 상항을 서비스합니다.

    이 기법에서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은 진행 도중에 도착한 요청들을 기존 진행들과 함께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최악의 상태에서는 진행 방향으로 탐색 거리가 짧은 작업 들이 주기적으로 도착하면 진행 방향의 끝 작업은 물론 역방향의 작업들도 무한 대기할 수 있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