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Interrupt Vector에 대해...
도서
[2013] SUMMARY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89
조회수
283
작성일
2013-05-27
작성자
첨부파일

인터럽트 2번째 단계인,

MAR <- PC

PC <- PC+1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인터럽트 벡터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의 값을 1 증가시켜 1로 세트시킴.

에서 질문입니다.

98 page의 잠깐만요에서 인터럽트 벡터에 대한 설명을 보았습니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분기하는 명령어들만을 기억하는 영역이라고 합니다. 이때 기억장치 내의 특정한 곳에 위치한다고 하였는데, 주기억 장치인가요 보조 기억 장치인가요? 주기억 장치라고 생각되지만, 정확히 알고자 질문합니다.

궁금한 점은 인터럽트 벡터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의 값을 1 증가시켜 1로 세트시킴. 입니다.

메인 메모리의 0번째 기억 공간에 복귀 주소 공간을 저장하여 복귀주소를 만드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PC 1로 만드는 것은 인터럽트 벡터 위치 지정에 어떻게 사용되나요? 메인 메모리(기억공간) 1번지에 인터럽트 벡터가 저장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이런 설명이 붙는건가요?

뭔가 생략 된듯 한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2013-05-28 09:44:41

안녕하세요.

0번지 부터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곳을 인터럽트 백터라고 하는데, 인터럽트 처리할 때 우선 0번지에는 복귀할 주소를 저장하고 1번지 부터 저장되어 있는 인터럽트 처리 방법대로 처리를 수행합니다.

결국 PC를 1로 세팅하는 것은 실질적인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내용들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의 위치로 처리를 옮기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0번지도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위한 인터럽트 벡터 공간의 일부라는 의미입니다. 그곳에 복귀 주소가 저장되고 1번지 이후부터 처리 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3-05-28 09:44:41

    안녕하세요.

    0번지 부터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곳을 인터럽트 백터라고 하는데, 인터럽트 처리할 때 우선 0번지에는 복귀할 주소를 저장하고 1번지 부터 저장되어 있는 인터럽트 처리 방법대로 처리를 수행합니다.

    결국 PC를 1로 세팅하는 것은 실질적인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내용들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의 위치로 처리를 옮기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0번지도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위한 인터럽트 벡터 공간의 일부라는 의미입니다. 그곳에 복귀 주소가 저장되고 1번지 이후부터 처리 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