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링크) 질문에서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을 봤는데
제가 질문을 잘못해서 답변도 제가 원하는 답변이 아닌게 됫네요. ^^
죄송합니다.
그래서 자세하게 질문하자면
최소항의 입력이 1이면 A 가 되고 0 이면 A'
최대항의 입력이 1이면 A'가 되고 1이면 A
가 되어서 왜 최소항은 출력이 1만 모아서 묶고 최대항은 출력이 0 인 것만 모아서 묶는지
그걸 어디에서 먼저 정해서 규칙으로 약속했는지를 증명하는 자료를 알고 싶다는 거였어요.
답변PPT 에도 그런 말은 없고 논리곱의 합형에서 최소항들은 출력이 1인것들만을 OR 연산한다고 되있어요.
왜 1이라고 정해놓았는지 설명은 없잖아요
논리합의 곱형에서도 출력이 0인 것들만을 AND 연산하는지 안 나와있어요
아까 썻듯이 입력에서도
최소항은 입력도 아무런 설명없이 1이면 그냥 A 가 되고 0이면 NOT A
최대항도 1이면 NOT A, 0 이면 그냥 A 라고 써있어요.
이런 규칙에 대한 증명부탁드립니다
항상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컴퓨터는 이진수로 표현되므로 0과 1로만 표현됩니다.
1은 값이 있다는 것의 표현이며, 이와 반대의 표현은 0입니다.
논리식을 간략화 할 때 2-7쪽의 문제 5번을 예로 들면
F(A, B, C) = E(1, 3, 4, 6)
즉 A, B, C 세 변수를 사용하였을 때 주어진 위치값 1, 3, 4, 6을 이용해 간략화하는 것으로
세 변수의 경우 해설과 같이 왼쪽 행에 A, 오른쪽 열에 B,C를 위치한 후 순서에 맞게 지정합니다.
이때 주어진 위치값에 1이 적용됩니다. 해당 위치에 값이 지정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1, 3, 4, 6 위치에 1을 표현한 후 그 값을 이용해 해설과 같이 간략화하는 과정이 최소항을 이용한 간략화로, 대부분의 문제가 이와 같이 출제됩니다.
시험 준비를 하시는 거라면 우선 교재에 수록된 최소항을 이용한 간략화에 대해 확실히 파악해 두세요.
쉽게 접할 수 있는 자료에서는 규칙이 만들어진 이유나 과정에 대한 내용을 찾기 어렵습니다.
최대항은 곱이 합으로 표현된 것이라는 것과 1이 아닌 0 위치의 값을 이용해 간략화한다는 것 정도만 파악한 후 필요시 관련 전공도서를 별도로 학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수험서의 특징상 출제기준에 관련된 전체 범위 중에서 시험에 주로 출제되는 내용 위주로 교재를 구성하고 있어 시험에는 다소 불필요한 세부적인 이론 내용은 다루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에 관심이 있으시면, 전공 서적을 통해 별도로 학습을 하셔야 하는점 양해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5-23 09:22:54
안녕하세요.
컴퓨터는 이진수로 표현되므로 0과 1로만 표현됩니다.
1은 값이 있다는 것의 표현이며, 이와 반대의 표현은 0입니다.
논리식을 간략화 할 때 2-7쪽의 문제 5번을 예로 들면
F(A, B, C) = E(1, 3, 4, 6)
즉 A, B, C 세 변수를 사용하였을 때 주어진 위치값 1, 3, 4, 6을 이용해 간략화하는 것으로
세 변수의 경우 해설과 같이 왼쪽 행에 A, 오른쪽 열에 B,C를 위치한 후 순서에 맞게 지정합니다.
이때 주어진 위치값에 1이 적용됩니다. 해당 위치에 값이 지정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1, 3, 4, 6 위치에 1을 표현한 후 그 값을 이용해 해설과 같이 간략화하는 과정이 최소항을 이용한 간략화로, 대부분의 문제가 이와 같이 출제됩니다.
시험 준비를 하시는 거라면 우선 교재에 수록된 최소항을 이용한 간략화에 대해 확실히 파악해 두세요.
쉽게 접할 수 있는 자료에서는 규칙이 만들어진 이유나 과정에 대한 내용을 찾기 어렵습니다.
최대항은 곱이 합으로 표현된 것이라는 것과 1이 아닌 0 위치의 값을 이용해 간략화한다는 것 정도만 파악한 후 필요시 관련 전공도서를 별도로 학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수험서의 특징상 출제기준에 관련된 전체 범위 중에서 시험에 주로 출제되는 내용 위주로 교재를 구성하고 있어 시험에는 다소 불필요한 세부적인 이론 내용은 다루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에 관심이 있으시면, 전공 서적을 통해 별도로 학습을 하셔야 하는점 양해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