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답 이상한데요?
데이터를 액세스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Access time을 말하는거 아닌가요?
포함되는것은 아래 3개인데...
seek, Latency, trasmission time
가번 로테이셔널 딜레이는 레이턴시에 포함되고
나는 seek이니까 맞고
다는 잘모르겠고
라는 access에 포함되므로
답이 다인거같은데
왜 답이 다와 라 두개인가요?
모두 고르라는 제시어도 없고
참 헷갈리게하네 ㅡㅡ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Access Time은 Seek + Latency(Relational Delay) + Transmission인데, 해설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보조기억장치에서의 데이터 접근시 Transmission을 제외하는 의견이 제시되고 또한 받아들여저 둘 다를 인정한 것으로, 향후 동일한 문제보다는 기억장치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Access Time과 같이 문제의 수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2-25 09:48:08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Access Time은 Seek + Latency(Relational Delay) + Transmission인데, 해설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보조기억장치에서의 데이터 접근시 Transmission을 제외하는 의견이 제시되고 또한 받아들여저 둘 다를 인정한 것으로, 향후 동일한 문제보다는 기억장치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Access Time과 같이 문제의 수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3-02-25 13:47:25
자기디스크에서는 access time으로 분명 트랜스미션까지 포함한다고 되어있고...
제외한다는말은 책 어디에도 나와있지않은데...
전체적으로 보조기억장치에서 트랜스미션을 제외한다는건 도대체 어디에 나와있는겁니까?
본문에는 자기드럼은 seek time을 제외한다는건 있찌만..
자기디스크가 데이터를 액세스하는데에는 분명 전송시간 포함입니다.
이해가 안가네요